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번 연구의 증명을 위해서는 확률을 매우 깊게 사용합니다. 그런데 단순하게 친구 사이를 결정하는 것을 확률로 한다고 해서 좋은 부등식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확률을 사용할 뿐 아니라 다른 아이디어도 잘 섞어야 비로소 좋은 부등식이 얻어집니다. 사실 램지 수로 생각할 수 있는 많은 수열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전공에 따라 연구 방식도 달라요. 저희는 수학적인 관점으로 연구합니다.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말고도 디벨로퍼와 엔지니어도 있어요. 리서치 디벨로퍼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리서치 엔지니어는 머신러닝을 바둑과 접목한 알파고처럼 연구 결과를 실생활 어디에 적용할 수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논문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리만 제타 함수(ζ(s))’라는 도구를 써서 말이지요. 리만의 이 도구는 가우스가 거의 발굴해 놓은 소수의 황금계단 위에 쌓인 흙먼지를 섬세하게 ... ...
- 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위성 ‘췌자오’에 있어요. 췌자오는 달 근처를 맴도는 통신위성으로, 창어 4호와 지구 사이의 통신을 중개할 예정이랍니다. 창어 4호는 2019년 1월 3일에 달의 뒷면에 있는 ‘본 카르만 크레이터’에 착륙할 예정이에요. 착륙 후에는 달 탐사 로버인 ‘광밍’이 달의 토양을 채취할 계획이지요. 창어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3500km까지 가까이 접근해서 사진을 찍을 예정이에요. 이때 뉴 호라이즌스호와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약 65억km지요. 뉴 호라이즌스호가 보낸 신호가 빛의 속도로 이동해도 미국항공우주국의 ‘심우주 통신망’에 도착하는 데에만 6시간이 걸리는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랍니다 ...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허리와 더듬이를 살피는 거예요. 허리가 뚜렷하지 않은 흰개미와 달리, 개미는 가슴과 배 사이 허리가 매우 잘록하지요. 더듬이도 곧게 뻗은 흰개미와 달리 꺾인 ‘L’자 모양이에요. 개미도 사회성 곤충이에요. 다만 흰개미의 왕은 평생 짝짓기를 하는 반면, 생식 능력이 있는 수개미는 짝짓기를 한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Alice)’를 만들어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로보컵 대회’에 한국 최초로 어덜트 사이즈 종목으로 출전한 것이다. 앨리스는 키 130cm, 몸무게 20kg으로 시속 약 0.5km로 걷는다(사람은 시속 3~4km). 앨리스 역시 눈에 스테레오 카메라가 달려 있는 양안시다. 조별 예선에서 2승 1패의 성적으로 8강까지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충분히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주인공 진우가 게임을 여러 번 반복하는 사이에, 게임 중인 장소에 현실의 자동차 한 대가 와서 주차된다. 그러자 가상의 캐릭터가 새로 생긴 차 위로 뛰어 오른다! 주변 지형을 이용한 것이다. 진우도 놀라고 시청자도 놀란 이 장면은 가능할까? 보통 ...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 전달된 소리를 스마트폰에 녹음하고, 주파수별로 소리가 도달하는 시간 차이와 거리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이 값을 이용해 터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10초 이내의 간단한 조정만으로 사물을 터치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빠르게 종분화가 이뤄졌다는 점이다(같은 기간 오랑우탄과 인간은 영장류 네다섯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게놈 지도를 ‘리시퀀싱(한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