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도시를 지나는 강에 작은 섬 2개와 섬과 강변을 잇는 다리 7개가 놓여 있었는데, 사람들 사이에서 이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면서 모든 다리를 건너 제자리로 돌아오는 방법이 있는지를 찾는 문제가 유행했다. 사람들이 답을 찾지 못하자 오일러가 나섰다. 오일러는 섬과 강변을 점으로, 다리를 선으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회복할 수 있는 실질적 조언을 들려 준다. (인싸력+1)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모두 ‘2019년 가장 기대되는 과학 분야’ 중 하나로 극지 프로젝트를 꼽았다.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남극의 붕괴 시점을 조사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2018년 4월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는 2033년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그런데 설상차가 크레바스에 빠진 거예요. 가슴이 철렁했지요.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일이 일어났어요. 정신을 차리고 보니 설상차 좌측 궤도가 크레바스에 빠진 상태였으나, 다행히 안에 있는 탑승자는 무사했지요. 일단 탑승자를 먼저 구조한 뒤, 다른 중장비를 이용해 설상차를 빼내었어요.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국 일본 후생노동성은 타미플루와 신경정신과적인 이상 증세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2017년 8월 타미플루 처방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이재갑 교수는 “일부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논문에서 타미플루가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IdH’가 숙취 해소에 좋다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기 시작했다. 특히 해외 애주가들 사이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고. ‘갈아만든 IdH’가 대체 무엇인지 폭풍 검색을 했다. 아하, 해태htb의 ‘갈아만든 배’였다.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들이 ‘배’를 알파벳으로 읽은 것이었다. 숙취 해소 음료 IdH 사건(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통신, 원격 감지, 기상관측 등이 가능한 위성과 발사체 개발에 집중했다. 미국과 소련 사이의 냉전체제가 무너지고 평화 분위기가 조성될 즈음인 1992년, 중국은 갑작스럽게 유인우주선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리고 2003년 유인우주선 비행에 성공했다. 이후에는 승승장구였다. 2007년 달 탐사선의 달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2011년부터 마인크래프트를 하기 시작했어요. 제가 만든 탈출맵이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자 자신감이 생겨 방송을 하게 됐죠. Q 다른 게임에는 없는 마인크래프트만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맵을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종종 ‘뭐하는 게임인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성도 유인 우주 탐사의 영원한 최종 목표는 아닐 것이다. 인사이트 착륙을 관제했던 관제실 모니터에는 우주로 나간 모든 우주선들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있었다. 가장 가까운 ‘달 궤도 탐사선(LRO)’의 데이터부터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공간으로 진출한 ...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지질의 이온 통로 조절, 최초 확인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은 전기적 방식과 화학적 방식이 번갈아 이뤄진다. 전기적 신호가 화학적 신호로 또는 화학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바뀔 때, 칼슘 통로, 칼륨 통로, 나트륨 통로 등 이온 통로가 신경세포의 ... ...
- [수학뉴스] 원자 배열의 미스터리 수학자가 풀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결과 실제 실험과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원자와 분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반데르발스 힘’을 일반화해 원자 배열을 예측할 수 있는 관계 함수를 찾았습니다. 이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기존 방법보다 실제 실험 결과를 잘 설명했습니다. 페리 교수는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