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그림자에게 먹혀 들어가다가 나중에는 아예 자취를 감췄다가는 다시 제 모습을 나타내는
천체
현상이 바로 월식이다. 지구의 그림자는 달보다 면적이 약 7배나 크기 때문에 금환월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월식은 보통 약 2시간에 걸쳐서 진행되므로 관측하기 쉽다.월식에는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만들 수 있을 정도에 이른다. 이 거대구름이야말로 우리은하 내에서 가장 큰 질량을 가진
천체
인 셈이다.별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러한 가스들은 초신성 잔해의 주변에서는 매우 뜨겁지만(8천℃ 정도) 희박한 형태로 존재하고, 별 주위에서는 아름다운 색깔로 밝게 빛을 내는 경우도 있다. 높은 밀도를 ... ...
물리- 왜 비행기에서는 안 생기고 우주선에서는 생기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상이 되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땅으로부터 자꾸 멀어져 결국 지구를 떠나서 다른
천체
의 인력권으로 들어가든가, 혹은 영원히 우주속을 비행하게 되는 경우다. 우주에는 마찰이 없으므로 엔진이 정지하기 직전의 역학적 에너지는 항상 보존된다.그러나 비행기는 비행고도가 낮기 때문에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이다. 그러므로 보름달이 하늘에 떠있게 되면 밤하늘 전체가 밝아지므로 다른 어두운
천체
들을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이처럼 먼 하늘 물체들을 관측하는 사람들에게 천적과도 같은 보름달이 이달 4일에는 1시간 30분씩이나 그 자취를 감추어 버린다.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뒤덮어 버리는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것이다. 요즘은 사진술이 발달하여 사진으로 관측대상을 찍어 기록으로 남길 수 있지만
천체
사진은 일반사진과는 달리 여러가지 부속장치와 조작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아직 어려운 기술이다. 월면의 관측은 육안으로 망원경을 들여다 보면서 달을 스케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보통 원을 360도, 직선을 180도, 직각을 90도로 나타내듯이 '도'라는 단위를 쓴다. 그러나
천체
들의 크기가 1도 보다도 작기 때문에 더 작은 단위인 '분'과 '초'라는 단위를 쓰게 된다. '분'은 1도를 60등분하고 '초'는 1분을 다시 60등분한 것이다. 즉 1도는 60분이고 3천6백초가 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1㎝를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다시 꺼지게 되고 실험 장치는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다음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천체
물리학의 이론적 예측과 현재 추진되고 있는 LIGO의 정밀도로 비추어 볼 때, 이러한 중력파를 1년에 서너개 정도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과 그 공간의 세밀한 숨소리를 ... ...
천문관측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조립에도 능숙하게 되는 것이 필수코스라고 밝혔다.아마추어 천문가들 중에는
천체
사진 촬영에 열중하는 사람이 많다. 이 분야는 높은 수준의 사진기술과 천문학적인 지식이 필요하다.아마추어들이 기록한 보고서나 촬영한 사진이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특히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손전등의 앞을 적색 셀로판지로 막아 밝기를 줄여 주는 것도 효과적이다.4. 관측기록은?
천체
관측 기록은 반드시 현장에서 관측, 즉시 바로 해야 한다.관측하지도 않고 마치 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기록해서는 안되며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해서 과장기록을 해서도 안된다. 이상한 현상을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결과는 전파망원경과 마찬가지로 도달하는 X선의 강도에 따라 등고선이 그려진다.
천체
로부터 방출되는 X선은 몇몇 대상을 제외하고는 그 세기가 매우 미약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X선 천문학자들은 보다 감도가 좋은 검출기 개발에 노력을 꾸준히 기울여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다. 그렇게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