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신성이라는 이름은 물론 밤하늘에 갑자기 나타난 모습을 의미한다. 이 신성은 바로 중심
천체
가 백색왜성인 유입물질 원반에 의해 설명 된다.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백색왜성은 거의 헬륨만으로 구성된, 핵반응이 더 이상 일어날 수 없는 별이다. 아직 젊은 동반성으로부터 유입물질을 통해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완전하지 않다.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다."무소츠키 박사는 표준모델이 최근 수년 사이에
천체
물리학을 강타한 가장 강력한 이론중의 하나였으며 따라서 그 영향도 깊다고 한다." 이 모델은 본질적으로 달라 보이는 물체들의 차이점을 아주 많이-전부는 아니지만-설명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그리고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춤추는 엄청난 은하계의 핵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든 간에 천문학자들이나
천체
물리학자들은 진실을 찾아내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 칼럼에선 간간히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이론을 논하게 될 것이다. 필자와 블랙홀을 논하는 탱고를 함께 출 사람은? The tango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초기우주가 ${10}^{-34}$초 동안 원래 크리의 ${10}^{28}$배로 팽창했다는 인플레이션 이론은 불완전한 표준모델이었던 빅뱅우주론을 보다 완벽하게 성숙시켰다.고대 이집트의 왕 토트메스 3세를 따라 유프라테스 강까지 진군했던 병사들이 지상에서 '거꾸로' 흐르는 강을 처음 보고 크게 놀랐다는 기록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알려지면 적색편이는 거리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우주에서 가장 멀리 있는
천체
는 퀘이사(quasar, 準恒星)다. 고래자리에는 주목할만한 퀘이사들이 있다. PHL 923은 1백억 광년의 거리에 있다. PKS 0106+01의 적색편이는 빛 속도의 4/5에 이르는 후퇴속도를 가리킨다. 그것은 이 퀘이사를 지구에서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당시에는 그것을 검증할만한 방법이 없었다. 대략 15년 후에 캐나다에 있는 도미니온
천체
물리관측소의 앤드류 맥켈라는 CN 분자를 이용한 우주의 유효온도 측정법을 제시하고 3.2K라는 측정결과를 제시했다.1946년 로버트 딕 그룹은 마이크로파 전파측정기로 20K보다 낮은 온도의 대기복사를 검출했다.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관측은 연세대(팀장 김동훈)에서 진행했다. 다른 지역과는 달리 4박5일을 KAAS 가평
천체
관측소에서 머물며 관측을 계속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8월3일은 특히 날씨가 좋아 궁수자리 별들이 초롱초롱 빛났으며 은하수가 뭉게뭉게 남북으로 뻗어 있었다고 관측일지에 기록했다. 운량은 0/10. 사진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좋은 쌍안경을 가지고 별을 보기에 완벽할 만큼 어두운 밤을 기다린다면 이 아름다운
천체
의 흐릿한 섬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서양의 점성술사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시대를 '물병자리 시대'(Age of Aquarius )로 이야기하고 있다. 봄은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면서 천구의 적도를 가로질러 북쪽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호먼궤도를 이용한다. 호먼궤도는 독일의 과학자인 월터 호먼(Walter Hohmann)박사가 '
천체
도달의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처음 발표된 궤도로 현대의 행성탐사의 기본 비행궤도로 이용되고 있다. 호먼궤도에 의한 행성탐사는 지구의 궤도와 가려고 하는 행성의 궤도중 서로 1백80도 되는 각각의 지점을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빛이 가지 못하게해 거리는 밝고 밤하늘은 어둡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거리에서는
천체
사진을 찍어도 항상 원래의 밤하늘 모습이 나온다고 합니다.조상 한집에 한등 끄기만 해도 에너지도 절약되고 밤하늘의 별도 제모습을 찾을텐데….사회 여러 말씀 고마웠습니다. 끝으로 이번 행사를 처음부터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