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사용하게 된다.이러한 경험과 더불어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지구와 우주
천체
의 광활한 모습은 우주공간에서의 생활을 신비하고 경이롭게 만들 것이다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말한다. 이 충돌의 폭력성은 또 새로운 별의 무리들을 탄생케 했을는지 모른다.허블
천체
망원경은 또한 ARP220이라는 은하계를 조사했는데 그 어떠한 은하계보다 10배 가량 큰 6개의 별무리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6개의 별무리들은 NGC1275 은하계의 젊은 별무리들보다도 더욱 밝다.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발전소는 핵분열을 이용한 발전소다. 핵융합발전은 2050년 경이나 실용화될 전망이다.
천체
물리학에 기여하는 핵에너지 과정은 모두 핵융합이다.앞서 우주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 중 약 3/4은 수소이며 나머지 약 1/4은 헬륨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헬륨이 무려 수소의 1/3가량이나 존재한다는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흡수형 필터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촬영대상의 선택도 중요하다. 광공해에 강한
천체
로서는 산개성단 구상성단 행성상성운 등 비교적 면적당 밝기가 밝은 것들이고 은하는 효과가 적다.이상으로 대도시 불빛 아래에서의 관측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았다. 물론 깨끗한 하늘 아래에서의 관측은 더할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나타나 있듯이, 빛도 탈출하지 못하는 지옥처럼 알려져 있는 검은 구멍(black hole)이 결코
천체
물리학 세계의 '괴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상을 초월하는 높은 온도와 밀도를 가질 수밖에 없는 태초에 허수 시간에 의하여 무경계 우주가 자연스럽게 저절로 태어났다는 주장이다. 굳이 일상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외부 은하들이 그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는 에드윈 허블의 발견은
천체
들의 분포에 관한 인간의 지식을 크게 넓히게 된 동기가 됐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이 발견의 의미는 과거로 갈수록 우주는 점점 작았으며 모든 물질과 빛은 결국 무한대의 밀도를 가진 점에서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2의 제곱근을 곱해서 얻어지며 이는 좀 더 어려운 물리학에서 유도된다.이상으로
천체
의 운동과 중력에 관한 기술을 마치고 다음 호부터는 별의 진화같은 현대 천문학 과정에 관하여 공부해 보기로 한다. 익힘문제 해답(1)식 (14)에서 만일 우리가 ${M}_{1}$=16, ${M}_{2}$=0으로 놓고 P의 단위로 년, a의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흔히 외부은하라 불리는 은하들은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수(우리은하)를 제외한 모든
천체
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들은 우리은하 외부의 먼거리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 아주 어둡게 보인다.이들 외부은하의 발견은 18세기경부터 기록돼 왔지만 1920년까지는 아무도 그들이 우리은하와 비슷한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움직이는데 반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궁수 A가 매우 무거운
천체
임을 나타낸다. 실제로 많은 천문학자들은 위와 같은 여러 현상의 에너지원이 궁수 A이며, 궁수 A는 태양보다 1백만배나 무거운 '검은 구멍'(black hole)일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은하의 중심에 '검은 구멍'이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원인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새로운 창을 통해
천체
를 관측함으로써 많은 새로운 정보가 얻어지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여기서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IRAS 적외선 인공위성, IVE자외선 인공위성, COBE 인공위성(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한 것), GRO 감마선 인공위성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