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7
한국 울릉도 해역에서 침몰했다. 얼마전 배가 발견돼 조사 중이다.야마시타 호일
본
야마시타호가 일제시대 한반도에서 약탈한 금괴를 싣고 가다 미군의 공격으로 남해에 침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말라카 해협1500년대 포르투갈의 약탈자들이 값진 상품을 실어 날랐다. 인도양과 남중국해를 ... ...
해리포터와 불사조기사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오클러먼시!해리~, 해리~. 난 네가 그토록 두려워하는 볼트모트다. 네가 꿈 속에서
본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지? 그건 내가 네 마음속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야. 내 목적은 널 조종해서 예언의 구슬을 차지하는 거지. 그런데 머글들도 최면술이란 걸 쓴다더군. 최면은 잠자는 것도 아니고 깨어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주변을 한번 둘러보렴. 연한 갈색과 분홍색의 구름바다를 볼 수 있을 거야. 비행기를 타
본
친구들이라면 상상할 수 있겠지? 가끔씩 암모니아 구름이 기구 옆을 스쳐 지나가기도 해. 지평선까지의 거리는 수천 킬로미터나 된단다. 마치 우리가 개미처럼 줄어든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거야. 시간이 많지 ... ...
후들후들~ 기숙사 귀신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4
않아 정상이라 하더라도 이런 흥분파가 나오는 경우가 생긴답니다.”“아, 저도 책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야경증이나 몽유병은 비렘수면의 깊은 잠에서 일어나고, 잠에서 깬 뒤에는 기억을 잘 못하지요? 꿈이랑은 상관이 없고요.”“오! 역시 가이스트의 학생답군요. 맞아요. 그리고 흥분파가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3
건설기술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 전해 줄 거랍니다. 중국은 통영의 바다목장을
본
따 해양연구를 시작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우리나라처럼 관광형 바다목장을 짓고 싶어 한답니다. 우리 기술로 지은 세계의 바다목장을 기대해 주세요!도대체 우러기의 집은 어디?우와, 드디어 바다목장 공부 끝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3
석회암이 풍부하기 때문에 석회암을 재료로 하는 시멘트 공장이 있을 거라는 예상은 기
본
!“석회암이 지하수에 녹으면서 만들어 낸 석회암 동굴은 그야말로 멋진 풍경을 보여 주지요. 물이 계속 흘러들면 동굴 천정에서부터 석회암이 조금씩 녹아 석순과 석주 등이 화려하게 발달하거든요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12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
본
(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
본
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사물의 혼'(The Soul of Things)이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12
가지런히 상대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듯하오. 혹시 문신 선생의 습작품은 없소?”“
본
적이 없습니다. 물론 습작을 꽤 하셨겠지만 저 스테인리스 작품들의 습작들은 찾기 어려워요. 헌데 습작품은 왜 갑자기….”“이렇듯 좌우를 똑같이 만들기까진 많은 노력이 필요했을게요. 단순하게 좌우의 ... ...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
과학동아
l
200712
갑자기 들어오면 렌즈에 뿌연 김이 낀다. 이때 렌즈를 카메라
본
체에서 분리하면 김이
본
체 안까지 서리며 먼지가 달라붙어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디지털카메라의 배터리는 영하의 기온에서 쉽게 방전된다. 따라서 남극에서 촬영을 나갈 때는 반드시 여분의 배터리를 챙겨야 한다. 배터리 때문에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12
사각형 그림을 15초 보여줬다. 그리고 실험참가자들에게 각각의 그림을 얼마나 오랫동안
본
것 같은지 물었다. 실험 결과 브뢰겔의 그림을 사각형 그림보다 더 오래 봤다고 응답한 사람이 더 많았다. 기억하는 정보량이 다르므로 정보량이 많은 브뢰겔 그림을 더 길게 봤다고 대답한 것이다.현재 겪는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