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10
외면을 받았던 약물에서 새로운 ‘금맥’을 찾았다. 미녹시딜에서 발모제의 가능성을
본
것이다. 그리고 농도가 5%인 미녹시딜 용액을 발랐을 때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가장 잘 자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두피에 흡수된 미녹시딜이 몸속 효소와 만나 활성화되면 머리 피부의 혈관이 확장된다. 혈액의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10
망원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았기 때문에 조선에는 망원경의 개수도 적고 직접
본
사람도 많지 않았다. 1765년 겨울, 북경을 방문했던 홍대용(1731~1783)은 천주당(가톨릭성당)을 찾아가 서양선교사의 도움으로 망원경을 구경할 기회를 얻었다. 그는 낮에 태양을 관측했는데, 흐린 날씨에 해를 보는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10
많다소립자의 성질이나 상호작용 및 내부 구조를 연구하여 물질의 구조와 운동에 관한 기
본
적인 물리법칙을 탐구하는 학문 소립자물리학의 중심 문제는 소립자의 내부구조를 조사하여 구성요소와 내부를 지배하는 역학법칙을 밝힘으로써 소립자의 창생 소멸과 복잡한 각종 상호작용을 통일적으로 ... ...
두얼굴의여친 다중인격장애
과학동아
l
200710
주인공이 죽을 고비를 넘기며 다중인격이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근
본
적으로는 다중인격장애가 왜 생기는지 아직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다중인격장애가 대중에게 처음 알려진 계기는 1957년 출판된 ‘이브의 세 얼굴’(Three Faces of Eve)이라는 사례집이었다. 미국 조지아대 의대 ...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10
아키텍처 빌딩’은 모든 층이 5분마다 한 바퀴씩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때문에 바깥에서
본
빌딩의 외형은 계속 변하고 빌딩 안의 전망은 볼 때마다 달라진다.이 빌딩의 가장 큰 특징은 풍력발전기가 달려있다는 점. 총 59층인 빌딩의 각 층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얇은 풍차가 총 48개 달려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09
있었다. 떨어져 나간 살점 같은 새하얀 유빙은 빙벽 밑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일
본
오키나와 섬에 살고 있는 마끼꼬 나시로(17) 양은 “최근 눈에 띄게 높아진 마을 앞바다의 해수면이 바로 이곳 북극의 빙하가 녹은 물 때문이라고 생각하니 섬뜩하다”고 말했다.나시로 양과 청소년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09
가시광선, X선, 감마선 같은 빛(전자기파)이었다. 하지만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에는 근
본
적인 한계가 있다. 빅뱅이 일어난 직후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은 초기 우주에서는 빛이 다른 입자와 빈번히 충돌해 빠져나올 수 없다. 안개가 자욱한 날 아무리 강한 빛을 쏴도 멀리서는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
탓에 생긴 멀미도 씻은 듯이 낫는군. 어라?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지구의 모습과 책에 실린 지도가 많이 다르네. 물에 잠긴 땅이 왜 이리 많지? 날씨도 너무 후덥지근하고 말이야. 흠. 그래도 여기까지 와서 돌아갈 수는 없잖아. 먼저 내가 좋아하는 문화 유적지부터 둘러보자. 어,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09
음전압으로 했을 때 발생하는 전기 진동 BK 진동이라고도 한다전하의 왕복진동 때문으로
본
다원통형의 전극을 가진 진공관에서 일어나기 쉽다 강자성체(强磁性體)의 자화(磁化)에 기인하는 일종의 잡음 전기공학자 H 바르크하우젠이 1919년에 발견했다그는 강자성체 시료에 서치코일을 감아 증폭기에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9
상징은 수학에서 사용하는 무한대 기호(∞)다. 무한대 기호는 뫼비우스의 띠를 옆에서
본
모양과 닮았다. 그러나 무한대 기호가 뫼비우스의 띠를 보고 만들었다는 얘기는 확실하지 않다. 무한대 기호는 영국의 수학자 존 윌리스가 17세기 말에 처음 사용했는데 뫼비우스의 띠가 발견된 때는 19세기로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