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같은 간단한 제품을 주로 만들었다. 목도리는 가로 길이가 일정해서, 실 색깔과 디자인만 결정하면 여러 개를 만드는 게 쉬웠다. 이런 독특한 제작 방법이 세상에 알려지고, 주목을 받자 카르호프는 더 과감해졌다. 만들 수 있는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가구를 만들고 싶었다.바람으로는 가구 전체를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시간이 꽤 남아있다. 남은 시 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인간과 크리스퍼의 미래 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이 처음으로 가진 무서운 힘 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 크리스퍼를 발견한 다우드 박사를 비롯한 유수 의 외국 연구자들은 중국 연구진이 결과를 발표하기 ...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만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라만드는 방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어떤 동물을 따 라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접 보는 게 중요하다. 정 교수는 학생 때 실험실에서 연꽃을 직 접 길렀다. 기계공학 실험실에서 연꽃을 키우다 보니 웃지 못할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루는 햇빛이 잘 ...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부위인 체감각피질이 동시에 활성화 된 것. 뇌섬엽은 담배를 피울지 피우지 않을지를 결정해 뇌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심리약학지’ 5월 13일자에 실렸다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지금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새로운 입자의 붕괴 현상이 처음 관측 ... 만들어진 2개의 뮤온 입자를 검출하는 데는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장 역사가 짧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천연 물질인 메타티탄칼슘(CaTiO3)처럼 ABX3 결정 구조를 갖는 모든 화합물을 말한다. 정육면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꼭짓점에 가장 크기가 큰 양이온 A가 있고, A보다 작은 양이온 B가 정육면체 중앙에 존재하는 구조다. B가 A보다 작을수록 구조가 안정된다. X는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연구팀은 양자점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입자를 도장처럼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셰프’가 나오는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의 전성시대다. 냉장고를 열어 눈에 띈 재료 몇 가지로 뚝딱 근사한 요리를 만들어내는 장면을 보면 신기하다못해 ... 정보는 공개돼 있고, 과학은 현재로서는 과도한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단을 내린 상태다. 결정은 소비자의 몫이다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관찰했다. 마지막으로는 사막의 장미(석고)를 살펴봤다. 사막의 장미는 멕시코산으로, 결정 모양이 장미와 닮아 특별하다.전세계 방방곡곡 사연을 담은 광물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광물은 권 관장이 30여 년 동안 직접 발품을 팔아가며 모은 것이다. 전시실을 한 바퀴만 둘러봐도 그 규모와 2000가지가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학자들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사물이 사람처럼 상황을 판단하고 학습해서 결정까지 내릴 수 있는 ‘인공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에 힘을 쏟고 있어요.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많은 데이터 안에서 규칙을 찾아 상황에 맞는 답을 찾는 능력이에요.최근 서울대학교 장병탁 교수팀이 만화영화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