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게임을 만들어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소 코딩을 자주 다루거나 SW 교육을 받아 본 독자도 있었지만, 생전 처음 코딩을 접하는 독자도 있었다. 어려울까 걱정하는 몇몇 독자들에게 오 교수는 여유로운 미소를 보였다.“코딩이란 말을 잊어버리세요. 수많은 명령어 하나하나를 몰라도 괜찮아요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데 성공한 단계다. 혈액에 직접 주입해 산소를 공급하는 실험은 더 앞서있다. 2013년 일본 고베대에서 환자 186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했는데, 결과가 성공적이었다.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셈이다. 재료가 1L에 800만 원 정도로 비싼 편이지만, 네르프(NERV, 에바를 통제하는 UN산하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4세대 방사광가속기 에서만 얻을 수 있다. 사진은 이효철 교수가 실험할 때 이용한 일본 이화학연구소 (리켄)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 ‘SACLA’.]“일반적인 화학 결합 관찰하는 게 목표”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그간 볼 수 없었던, 펨토초 시간대에 일어나는 일반적인 화학 결합을 볼 수 있을 것으로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안에서 들끓는 욕망을 인류 진화와 연결지어 생각하고, 너와 나의 생각이 다른 걸 존재의 본질과 연결지어 생각하게 된다. 그럴수록 내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게 되고, 남의 생각도 받아들일 수 있다. 자연과학이 우리 삶과 관계없이 어디 멀리 동떨어져있는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하지만 ... ...
- [knowledge] 고난은 우리를 성장시키지 않는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낑낑 대며 고생하는 사람을 도와주고 응원해야한다고 지인은 충고했다. 그는 “남들도 본인처럼 독하게 아등바등 살아야 좋다고 하는데, 그러지 않고도 살 수 있는 게 더 좋은 거잖아”라는 말을 덧붙였다.이 이야기를 듣고 필자가 생각해 본, 고난을 대하는 바람직한 자세는 이러하다. 불필요한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후손은 우주 곳곳에 이런 도시를 짓고 살아갈지도 모른다.푸른 나무의 도시멀리서 본 화성의 도시는 마치 거대한 나무 같다. 모든 건물은 벽면이 이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돔 안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작은 중력을 활용해, 빌딩 위아래로 움직이는 셔틀버스도 설치했다 ...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양은 어디서 온 거양~?궁금한 게 있어요~. 양이랑 염소는 같은 동물 아닌가요? 저번에 본 양띠 그림이 염소처럼 생겼더라고요.염소와는 다르다, 염소와는!양은 소과에 속하는 동물로 풀이나 곡류 등을 즐겨먹는 초식성 동물이에요. 성품이 온순한 편이고 반드시 가던 길로 되돌아오는 습성도 있어서 ... ...
- [참여] 게임카페 두 번째 시간 세상에서 하나뿐인 나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연상할 수 있는 먹이사슬로부터 간단한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예시를 보여주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특이한 캐릭터를 늘어놓고 A가 B를 잡고, B가 C를 잡고, C가 D를 잡는다는 규칙을 정한다고 가정해 보자.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연관성이 없는 A, B, C, D 네 개의 캐릭터의 특징과 상관관계를 굳이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난해 겨울 강원도 인제군은 유독 조용했다. 소양강 상류의 넒은 얼음 벌판을 망치로 깨는 가족들이 있을 자리에, 무심한 바람만 불었다. 소양강에서 가족들을 내쫓은 것은 ... 물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Tip 1 불금보다는 불토 일단 ‘불금’을 과감히 포기하길 바란다. 국토연구원이 SK텔레콤 스마트폰 사용자 빅데이터(2013년 11월 기준) 1억5000만 개를 활용해 *활동지수를 분석한 결과, 금요일은 활동지수가 일주일 중 가장 높다. 활동지수가 특히 높은 시간대는 오후 3시부터 새벽 5시까지(오후 5시가 피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