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을 보면 어느 날 커다란 구렁이가 처마에 있는 제비 둥지를 공격해요. 이 모습을
본
흥부는 재빨리 구렁이를 쫓아 버리지요. 하지만 새끼 제비 한 마리가 둥지에서 떨어져 다치고 말아요. 흥부는 이 제비의 다리가 나을 때까지 정성껏 보살핀답니다. 그런데 왜 하필 흥부네 집 처마 밑에 있는 둥지의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반응속도식의 모양도 다르다. 품질 지표별로 반응속도식을 2가지 경우로 모두 나타내
본
다음, 식이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결정계수★)의 값이 가장 큰 식을 최종 반응속도식으로 결정한다.결정계수★ 0과 1사이의 값으로 결정계수가 1에 가까운 반응식일수록 유효하다.반응속도상수는 시간에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낸다(되돌이 뇌격).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은 바로 되돌이 뇌격이다. 즉 우리가
본
번개는 대부분 땅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현상이다. 전자가 내려오고 되돌이 뇌격이 일어나는 데는 단 1000분의 1초가 걸린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번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 꽂히는 것으로 보인다.전하★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중력을 만들어 줍니다.”김 선생님은 캘리그래피로 만들었던 글귀 가운데 ‘수학의
본
질은 자유로움에 있다(게오르그 칸토어)’와 ‘누구든지 수학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많은 절망감을 맛보아야 한다(존 밀너)’를 특히 좋아한다고 했다. 글귀 속의 수학을 ‘인생’으로 바꿔도 전혀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맞았다. 박 교수는 흥미로운 질문으로 수업의 문을 열었다.“엄마랑 같이 수박 사러 가
본
사람 있나요?”당연하다는 듯 대부분의 독자기자들이 손을 들었다.“그럼 그 수박이 어떻게 쌓여 있었는지 기억나는 사람? 앞으로 나와서 직접 스티로폼 공으로 쌓아 보세요.”이원준 독자기자가 앞으로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필자는 이런 추세라면 영화 속 ‘터미네이터’가 실생활에 등장하는 것도 시간 문제라고
본
다. 하지만 그런 초지능이 나온 미래가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는 지금부터 하기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현재 군인들은 시뮬레이터 장비를 이용해 훈련한다. 지금은 교관 또는 관리자가 가상의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5월 20일,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 판정을 받고 여러 언론에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다. 기사 내용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실은 40%에 달하는 치사율. ... www.dongaScience.com/special/mers▼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옆면에 매달려서 작업하기 힘들다. 그리고 구멍을 뚫거나 용접을 하거나, 밧줄을 연결해
본
경험이 없다. 집게로 물건을 집어 올리는 등 아직 간단한 작업만 가능하다.결국 사람이 들어가야 한다. 잠수사 피해를 막으려면 전류 시간대와 유속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해양과학기술원은 작년 12월부터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밀랍
본
중 상태가 아주 나쁜 것은 10권 내외로 소수”라면서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지는 않기 때문에 보다 신중을 기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혜영 학예연구사도 “현재는 기술을 확보해서 관련 기관에 제공한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우리는 산산조각난 유리조각이 저절로 다시 모여 예쁜 유리컵 모양으로 돌아가는 일을
본
적이 없다. 즉 개별적으로는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있는 물리법칙을 따르는 미시적인 입자들이라도, 여럿이 함께 모여 거시적인 물체를 이루면 마치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