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필자는 이런 추세라면 영화 속 ‘터미네이터’가 실생활에 등장하는 것도 시간 문제라고 본다. 하지만 그런 초지능이 나온 미래가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는 지금부터 하기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현재 군인들은 시뮬레이터 장비를 이용해 훈련한다. 지금은 교관 또는 관리자가 가상의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오래 전부터 낙타는 아랍 유목민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동반자였다. 아랍의 고전에 등장하는 낙타는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정신적 존재였고, 현실에서는 유용한 이 ... 잘 길들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2]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친해요. 서로 고생하는 거 옆에서 보니까.” “그래, 나도 그런 얘기 어디서 들어본 것 같아.” “거기서 어떤 여자애를 만났어요. 저보다 두 살 어린. 처음에는 그냥, ‘되게 마르고 조그맣고 귀여운 애네’ 하고 별 생각은 없었어요.”(소년, 빈 잔에 맥주를 따르고 소주를 더한다.) “야, 너 이제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밀랍본 중 상태가 아주 나쁜 것은 10권 내외로 소수”라면서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지는 않기 때문에 보다 신중을 기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혜영 학예연구사도 “현재는 기술을 확보해서 관련 기관에 제공한 ...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년 07호
- Q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어떤 공부를 하는가건설이 들어가는 학과가 많아 정확히 어떤 공부를 하는지 감이 안 올 거예요. 건설환경공학부 ... 그건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그건 산업의 비전이지 학생 본인의 비전이 아니잖아요. 본인이 좋아서 선택한 일이 최고의 비전을 가진 일입니다 ...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을 보면 어느 날 커다란 구렁이가 처마에 있는 제비 둥지를 공격해요. 이 모습을 본 흥부는 재빨리 구렁이를 쫓아 버리지요. 하지만 새끼 제비 한 마리가 둥지에서 떨어져 다치고 말아요. 흥부는 이 제비의 다리가 나을 때까지 정성껏 보살핀답니다. 그런데 왜 하필 흥부네 집 처마 밑에 있는 둥지의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반응속도식의 모양도 다르다. 품질 지표별로 반응속도식을 2가지 경우로 모두 나타내 본 다음, 식이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결정계수★)의 값이 가장 큰 식을 최종 반응속도식으로 결정한다.결정계수★ 0과 1사이의 값으로 결정계수가 1에 가까운 반응식일수록 유효하다.반응속도상수는 시간에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월 20일,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 판정을 받고 여러 언론에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다. 기사 내용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실은 40%에 달하는 치사율. ... www.dongaScience.com/special/mers▼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중앙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거울은 모두 곡면을 비대칭으로 깎아야 해요. 친구들이 본 부경이 바로 이 비대칭 거울이에요. 거울 7장이 연결돼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세심하게 계산해서 깎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지요.”양호순 센터장님의 설명에 두 기자는 고개를 끄덕였어요. 밑에서 직접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우리는 산산조각난 유리조각이 저절로 다시 모여 예쁜 유리컵 모양으로 돌아가는 일을 본 적이 없다. 즉 개별적으로는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있는 물리법칙을 따르는 미시적인 입자들이라도, 여럿이 함께 모여 거시적인 물체를 이루면 마치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