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모두 모였습니다. 그 중에는 드론을 여러 번 날려 본 독자도 있었고, 드론을 처음 만져 본 독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수업 시작 전부터 너나 할 것 없이 드론 전문가인 선생님께 질문을 쏟아냈습니다.“선생님, 드론에 달린 이 프로펠러는 속력이 얼마나 돼요?”“헥사 드론과 옥타 드론은 움직임에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때처럼 풍경이 길고 넓게 펼쳐져 보인다.소나 양이 풀을 뜯는 모습을 가만히 관찰해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초식동물은 머리를 숙이거나 들거나, 고개를 갸우뚱 기울이고 있을 때도 항상 네모 눈동자를 땅과 수평하게 유지한다. 그래서 머리를 땅으로 수그리고 풀을 뜯어먹는 동안에도 항상 눈으로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신기한 곤충을 널리 알리는 최고의 대한민국 곤충학자들이 많이 등장하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장애물이 너무 많다. 징검다리를 놓아야 한다. 엘론 머스크의 ‘위성 4000개’는 앞서 본 노드에 해당한다. 화성 거주민이 인터넷에 접속해 지구에서 온 메일을 확인하려면 꽤 많은 중계위성이 필요하다. 이 중 대부분은 지구 근궤도에 놓기 위한 것이다.다시 지구에서 쓰는 무선통신망으로 돌아와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년에 걸쳐 곤충의 생애 전반을 끈기 있게 지켜본 파브르의 고집스런 태도는 저도 본받고 싶습니다.”“한 마디로 곤충생태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죠.” 그때까지 아무 말 없던 C가 끼어들었다. “게다가 쉽고 아름다운 글을 남겼다는 걸 잊으면 안 돼요. 그 이전의 어떤 학자가 곤충의 생활사를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쟁 당시 연합군이 이곳을 막으면서 일본군이 패했다. 그때 바닷속으로 침몰된 일본 함선에 산호가 자라면서 색다른 정취를 만들어냈다. 현재 축은 세계 3대 다이빙 포인트로 꼽힌다.체험단은 축에 도착한 다음날부터 바다에서 매일 스노클링을 하며 아픈 역사를 간직한, 그러나 더없이 아름다운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유일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사람은 악하고 선한 본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우승자에겐 멋진 스포츠카를 선물로 드립니다!’우연히 길거리에 떨어진 전단지를 받아본 썰렁홈즈. 탐정 사무소 실적이 부진해서 자동차를 살 수 없었던 썰렁홈즈는 우승자 선물이 자동차라는 말에 무조건 참가하기로 한다.대회날 아침, 자동차 경주가 열리는 곳엔 벌써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띠 위 를 걷고 있다.뫼비우스의 띠가 풀리는 순간을 잡아라뫼비우스의 띠를 만들어 본 사람은 많지만, 띠가 풀리는 순간을 관찰한 사람은 드물다. 종이가 아니라 변형 가능한 물질로 만든 뫼비우스의 띠는 바깥쪽 면과 안쪽 면이 따로 있는 보통의 띠로 풀리기도 한다.2010년 10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비하면 차이가 크지 않다’고 말하지만, 그가 타자가 유리한 구장에서 뛰며 이득을 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왜 이런 일이 일어난걸까. 정답은 ‘높은 고도’다. 쿠어스 필드가 있는 덴버는 해발고도가 1600m다. 설악산 대청봉(1708m)과 비슷한 고도다. 이런 높은 고도 때문에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