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런데 이런 일이 개와 사람 사이에서도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답니다.일본 아자부대 키쿠수이 타케푸미 교수팀은 개 30마리를 연구실로 초대해 주인과 30분 동안 놀게 했어요. 그리고 사람과 개의 소변을 각각 분석했죠. 그 결과 옥시토신이 주인에게서는 300%, 개에게서는 130% 늘어난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매듭을 끊지 않고서는 거울에 비친 상으로 바꿀 수 없다.1984년 뉴질랜드의 수학자 본 존스는 거울에 비친 매듭을 원래 매듭과 구분할 수 있는 다항식을 찾아냈다. 거울 속 매듭은 원래 매듭을 이루는 가닥의 위아래를 뒤바꾼 모양이다. 존스의 다항식에서 변수를 그 변수의 역수(곱해서 1이 되는 수.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학원에서 ‘크기가 다른 두 톱니바퀴가 다시 맞물릴 때가 언제인지’ 묻는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는 직접 톱니바퀴를 돌리고, 퍼즐 조각을 맞추면서 ‘손으로’ 답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수학을 보고, 만지고, 느끼는 체험관‘우두두두…’ 쟁반에 구슬이 쏟아지는 소리가 ... ...
- [과학뉴스] 연세대 ‘창조과학’ 강의 개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올린 수업 계획서에서 “기독교인 과학자는 성경 내용과 과학 지식 사이의 갈등을 느껴본 경험이 있다. 성경 중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고 이것을 과학적 접근으로 이해하고자 한다”고 강의 취지를 밝혔다.하지만 일부 학생들이 SNS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고, 일부 언론이 ... ...
- [과학뉴스] “나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글을 올렸다. 심지어 웽거가 그 회사의 직원이 아니라는 의혹도 제기했다.이를 본 웽거는 8월 4일 자신의 트위터에 ‘#저는 엔지니어처럼 생겼어요(#ILookLike AnEngineer)’라는 해시태그를 손으로 써서 사진으로 올렸다. 웽거는 “다양한 여성 엔지니어가 존재하고 이들이 무엇을 개발하는지 ...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빙하의 두께를 재고, 배를 타고 가까이에서 빙하를 관찰했다. 빙하가 녹는 모습을 직접 본 강우림 군(목포 덕인고1)은 “여름이라 기온이 높아 자연스럽게 녹았겠지만, 기후변화 탓도 있는 것 같아 죄책감이 들었다”고 밝혔다. 해양 미세조류와 해파리 등 북극 생명체도 연구했다. 다양한 동물도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무 사이로 비추는 빛을 포착하기 위해 그는 일부러 목동을 불렀다. 평생 모델이라곤 해본 적이 없을 목동의 포즈가 꽤 그럴듯하다(왼쪽). 오후의 따스한 빛은 누렇게 색이 바랜 그물을 황금빛으로 물들인다. 하루 일과를 마친 어부가 다음날 작업을 위해 다시 그물을 펼치고 있다(아래).]빛을 지키는 ... ...
- [손바닥 인터뷰] 김형수 작가, 몽골의 슈바이처, 독립운동가 이태준을 좇는 소설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함께 울란바토르가 내려다 보이는 전망대에 갔다. 그곳에서 이태준 기념공원을 본 것이 출발점이었다. 처음에는 동명의 소설가 이태준을 말하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의사 이태준을 기념하는 공원이었다.Q 몽골에서 이태준 선생이 유명한가A 엄청 유명하다. 한 예로 또다른 독립운동가인 여운형이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있는 회사들의 비밀이다. HFT를 시장에서 내쫓아야 할까기계와 알고리듬, 막대한 자본에 의한 시설은 HFT를 논쟁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어떤 이들은 HFT 회사가 주식시장의 약탈자라고 비난한다. 지난해 11월 ‘플래시 보이스’라는 책을 출간한 미국의 탐사보도 전문가 마이클 루이스가 대표적인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디지털 중독에서도 소망계수와 감수성계수 사이에서 심리적인 동요가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배 교수는 이 모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중독이 되기 전과 후의 심리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중독 전에는 주기적인 패턴을 보이지만, 중독된 뒤에는 일정한 규칙 없이 혼란스러웠다. 특히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