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실험을 한다”며 “그 뒤 규모가 큰 본실험에서 고대의 제철 기술을 종합적으로 복원해 본다”고 설명했습니다.흔히 공학에서는 소규모로 실험을 해 자료를 얻으면 조금씩 규모를 키워가며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똑같은 실험을 두 배 큰 실험 시설에서 하면, 결과는 두 배로 나오지 않는 ... ...
- [Editor’s note] 끝과 시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점 보는 책’으로 봤다. 물론 점을 보는 데 관심이 있어서는 아니었고, 그저 재미로 본 것도 아니었다. ‘변화의 책’이라는 영어판 제목이 말해주는 것처럼 주역 안에는 비록 어수선하나마 변화의 묘가 있었고, 나는 거기에 오래 매료돼 있었다.주역은 음양 두 개의 효를 마치 디지털 기호를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방식이다. 이때 아이콘이놓인 장소에 따라 적절한 작업이 이루어진다.]내가 직접 만들어본 게임!친구들은 교수님의 지시에 따라 토끼가 거미를 피해 다이아몬드 3개를 가지고 출구로 탈출하는 게임을 만들어 봤어요. 이를 위해 가장 먼저 ‘PEI’ 개념에 대해 배우고 직접 실습했어요. 여기서 P는 게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생긴다. 그런데 지난 해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4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를 보면, 초·중·고등학생의 약 15%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비만은 당뇨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특히 소아청소년들의 비만은 어른이 돼서도 계속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줄어 있었어요. 우리나라는 2012년에 국가질량원기 복사본으로 점검했기 때문에 복사본의 오차인 36㎍만큼 질량 값을 빼야 했어요. 그 결과 우리나라 국가질량원기의 질량은 ‘1kg + 485㎍’에서 ‘1kg + 449㎍’이 되었답니다.박연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오차는 미세하기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때처럼 풍경이 길고 넓게 펼쳐져 보인다.소나 양이 풀을 뜯는 모습을 가만히 관찰해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초식동물은 머리를 숙이거나 들거나, 고개를 갸우뚱 기울이고 있을 때도 항상 네모 눈동자를 땅과 수평하게 유지한다. 그래서 머리를 땅으로 수그리고 풀을 뜯어먹는 동안에도 항상 눈으로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모두 모였습니다. 그 중에는 드론을 여러 번 날려 본 독자도 있었고, 드론을 처음 만져 본 독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수업 시작 전부터 너나 할 것 없이 드론 전문가인 선생님께 질문을 쏟아냈습니다.“선생님, 드론에 달린 이 프로펠러는 속력이 얼마나 돼요?”“헥사 드론과 옥타 드론은 움직임에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적은 없다. 과학자들은 얼음층 밑에 액체 상태의 물이 저장된 층이 존재할 것이라고 본다. 나는 물을 찾을 두 번째 동료를 만들기로 했다. 이름은 오픈 로브(Open Rov)다. 이 역시 모든 기술이 공개돼 있기 때문에 누구나 소형잠수정을 개발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원 개발자는 NASA 에임즈 연구소에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했다. 초우따라 팀 봉사단원인 노은지 씨(가톨릭대 4학년)도 “한 번도 춤을 춰 본 적 없는 아이가 용기를 내서 자신의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감탄했다 .일주일 안팎의 짧은 기간 동안 심리치료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하지만 한국 봉사단이 마을 주민들과 아이들에게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시대였다. 예를 들어보자. 고루 퍼져 있는 양전하에 군데군데 전자가 박혀 있다고 본 톰슨의 원자 모형은, 원자핵을 발견한 러더퍼드의 산란실험으로 무너졌다(9월호 상수의 탄생 참고). 마침내 물질의 구조를 완전히 이해했다는 기쁨도 잠시, 러더퍼드의 발견은 그때까지 견고하다고 믿었던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