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뉴스
"
인식
"(으)로 총 4,125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형별 코로나19 걸리면…A형 중증·O형 경증 가능성↑
연합뉴스
l
2020.06.18
파라메스와 하리 박사는 "혈액형이 O형인 경우 코로나19 표면의 단백질을 이질적이라고
인식
하는 능력이 더 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혈액형은 콜레라, 위궤양이나 위암을 불러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민감도와 연계돼 있기도 하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 ...
코로나19·탈성장 시대 새로운 키워드는 '로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조사한 결과를 공개한다. 이어 뉴욕 패션산업 집적지구의 산업적, 문화적 가치를 재
인식
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재개발을 막은 ‘어반 매뉴팩처링 얼라이언스’의 아담 프리드먼 창립자가 미국 뉴욕의 현황을 소개하고, 런던과 브뤼셀, 로테르담의 도심제조업을 재평가하는 연구 프로젝트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
2020.06.17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김상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분자
인식
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PCR 장비로 실험하다 보면 꾸준히 양성 판정이 나올 수 있는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데 반복적인 실험 과정에서 워낙 높은 농도로 유전자가 증폭되다 보면 위양성 사례가 나오기도 한다”며 ... ...
산속 드론 정거장에 인공지능까지…산림재해 과학적으로 감시
연합뉴스
l
2020.06.17
장치로 분석된다. 불꽃이나 연기로 산불 발생을 감지하고 사람 또는 자동차를
인식
해 무단 입산자를 탐지한다. 탐지된 상황은 현장 담당자와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 전달된다. 이현주 산림청 스마트산림재해대응단장은 "드론 스테이션과 인공지능이 융합된 산림재해 감시체계로 더욱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세포에 침투할 때 인체 세포 표면의 ‘문고리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
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결합부위(RBD)와 결합하는 항체를 집중적으로 분리했다. 연구팀은 이런 항체를 두 개 조합해 투여하는 방법의 효과를 연구했다. 핸슨 교수는 “하나의 ... ...
마이크로RNA 분석 기술 코로나19 진단에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상경 분자
인식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바이러스 진단에 활용되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마이크로RNA 분석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와 같은 ... ...
中 베이징 코로나 환자 최근 5일간 106명…WHO "베이징 집단감염 중요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보건당국은 이번 베이징 감염 사태를 두고 ‘전시 상태’라 규정했다. 전쟁 상황으로
인식
할 만큼 상황이 급박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베이징 신파디 시장 유행사태가 코로나19 사태의 근원지였던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화난 수산물 시장 감염사태와 닮아 있다고도 주장한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그 결과 바이러스 내 스파이크 단백질 수가 5배 늘어났고,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ACE2를
인식
하는 기능을 하는 부위(S1)의 이탈을 줄여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감염력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는 변이에 따른 바이러스의 침투력 차이 가능성을 세포 차원에서 제기한 연구다. 다만 이 변이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 10배로 커졌다"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단백질 중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
해 세포 안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
하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의 부위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숫자를 5배 더 늘어나게 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생긴 바이러스와 돌연변이가 ... ...
TV 속 고양이를 응원하는 고양이
팝뉴스
l
2020.06.11
제공 고양이는 TV 속 고양이를 고양이로
인식
할까?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TV를 집중 시청하는 고양이가 화제다. 사진 속 고양이는 ‘톰과 제리’를 보고 있다. 쥐를 쫓는 고양이를 응원하고 있는 것일까. TV 시청 중인 고양이도 만화 영화 속 고양이처럼 엎드려 있다. TV를 정말 사랑하는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