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뉴스
"
인식
"(으)로 총 4,12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증상 감염자의 에어로졸 전파 가능하다면 2m 거리두기도 위험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에어로졸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이를 주요 요인으로
인식
하고 마스크 착용과 같은 무증상 전파를 막는 수단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달 2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코로나19 환자들은 기침을 하거나 말을 하며 튀는 침방울을 통해 바이러스를 ... ...
포스텍 AI 대학원, MS와 3D·상품추천 AI 공동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추천시스템’ 연구를 진행한다. 조민수 교수와 곽수하 교수팀은 ‘포괄적 비디오 행동
인식
을 위한 대중 태스크 전이 학습’, 조성현 교수와 박재식 교수팀은 ‘3D 세계 생성을 위한 투명한 생성 모델’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팀별로 석박사생 1명씩 MSRA에 파견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 ... ...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단백질 중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
해 세포 안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
하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의 부위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많은 백신과 치료제가 이 단백질을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치명적인 변종으로 변할 경우 이 부위에서 변이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을 소중하게 여기는 국회가 되고 싶다면
2020.05.27
않는다. 지난 20여 년 동안 과학기술계를 짓눌러왔던 ‘혁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이 필요하다. 진정한 혁신은 정치인이나 정책전문가들이 강조하듯이 남의 제도를 어설프게 흉내 내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사회로부터 진정으로 존중받는 과학자들의 노력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 ...
코로나 맞선 로봇·AI 등 기술 어디까지…서울디지털재단 보고서
연합뉴스
l
2020.05.26
구현을 앞두고 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은 홍채 스캐너와 QR코드를 활용해 신원을
인식
하는 기술을 세계 각지 난민을 위한 식량 원조에 활용 중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비대면 서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IoT, AI, 로봇 등을 활용한 배달서비스와 무인상점도 ... ...
생명윤리심의위 "코로나19 임상, 연구대상자 안전이 우선"
연합뉴스
l
2020.05.26
지원도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사회 구성원 사이에 불신이나 혐오 같은
인식
이 자리 잡지 않도록 정부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리위는 이런 사회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윤리적 자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구의 운영을 고려할 수 있다"고 ... ...
1억분의 5m 크기 나노 구조 관찰 가능한 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0.05.25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주사광학현미경은 두 개의 직사각형을 하나의 점으로
인식
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현미경은 둘을 구분할 수 있다. 나노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3배(150㎚ → 50㎚) 좋아진 것이다. 기존 현미경과 달리 진공이 아닌 일반 대기 상태에서도 시료를 관찰할 수 ... ...
광동제약 '여성용 비아그라' 국내 임상 승인…2022년 출시 목표
연합뉴스
l
2020.05.25
기혼여성의 약 48.9%가 성욕저하장애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질병에 대한
인식
을 높이고, 여성 삶의 질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1000분의 1초)만에 빛을 감지하는 반면 사람 눈은 40~150 밀리초가 소요된다. 최대 5배 가량
인식
속도가 빠른 셈이다. 연구팀이 만든 인공망막은 1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수준의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 3개로 구성된다. 나노선 하나는 광수용체 하나의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인공눈은 나노선 ... ...
"유아·어린이 코로나19 환자 적은 이유는 ACE2 단백질 수 차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에 감염되기 위해
인식
해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어린이나 유아의 코로나19 환자 비율은 낮다. 한국의 경우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발표 기준으로 0~9세 어린이와 유아는 전체 환자의 1.33%, 10~19세 청소년은 5.68%를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