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들어오는 방법과 그 양에 따라 독이 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질이 독이 될 수 있는
셈
이다. 그렇다면 그 중 가장 강한 독은 무엇일까. 그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이 독은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이번 특집에 이 모든 궁금증에 대한 답을 담았다. 지금부터 ‘독한 독’의 세계로 빠져보자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4.4m였다. 한창 운항 중인 배는 앞부분이 뒷부분에 비해 5m 이상 번쩍 들린 채 운항하는
셈
이다).좌초가 일어나면 배 안에 물이 들어오는데, 물이 한정된곳에만 차도록 유도하면 배 전체가 무거워지지 않아 침몰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형 선박은 안에 벽 같은 세로 시설물을 설치해 들어온 물을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들이 만든 건 속이 빈 육면체로 한쪽 면을 여닫을 수도 있다. 뚜껑달린 나노박스인
셈
이다. 역시 DNA단일가닥인 바이러스 게놈을 골격으로 스테이플 가닥들을 써서 사각형 면을 6개 만든 뒤 이들 모서리가 또 다른 스테이플 가닥들의 도움으로 서로 붙으면서 육면체 모양을 만든 것. 육면체의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2조원 규모의 중성자 연구 시설을 유치하는 데도 성공했다. 북유럽의 ‘연구 허브’가 된
셈
이다.이렇게 현대의 과학 연구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도시가 아니더라도 이웃 지역과의 연합을 통해 큰 규모의 연구를 수행하는 방안도 있다. 기업 활동과 연구, 그리고 연구종사자들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
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미국에 입국하려다 제지당했다. 손가락에 지문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여성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무지문증(adermatoglyphia)’이었던 것. 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초원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직립보행이 태어났다는 가설마저 흔들리게 된
셈
입니다. 과연 최초의 인류는 누구이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질문은 진화론의 역사와 함께합니다. 다윈이 제기한 이후 200년이 넘게 끊임없이 탐구된 주제입니다. 논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지금, 최초 인류의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되면, 배의 무게가 점점 증가한다. ‘(중력)=(부력)’이라는 평형방정식이 깨지는
셈
이다. 하지만 곧 배의 무게(중력)가 증가한 만큼 배가 잠기는 부분(부력)이 많아져, 배는 새로운 평형상태를 되찾는다. 그렇다면 타이타닉 호는 왜 중심을 잃은 걸까?배의 중심은 무게중심과 부심(부력의 중심)으로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결국은 인공지능과 인공신경망 두 접근 방식이 다 실패한
셈
”이라며 “현재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다 정리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답은 뇌밖에 없다지금까지의 실패를 딛고 다시 시작하기 위해 택한 방법이 인공 뇌다. 단순했던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받게 되면 남은 배터리나 연료가 폭발하기도 한다. 자칫 ‘우주 폭탄’이 될 수도 있는
셈
이다.수명이 다한 위성은 역추진시켜 대기권으로 떨어뜨리면 우주쓰레기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쓰면 연료가 낭비돼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 수명이 다한 위성을 어떻게 고도를 낮춰 대기권으로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뿌린 식빵은 일주일 동안 변화가 없었다. 자일리톨이 식빵의 유통기간을 2배로 늘린
셈
이다. 게다가 자일리톨은 맛이 강하지 않아 생선 맛에는 문제가 없다. 이 연구는 고려대 식품공학과의 황하준 교수가 도와줬다. 프리스팀이 직접 메일을 보내 부탁한 것이다. 조영도(경기 안산시 상록중 3학년)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