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세균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조금 더럽긴 하지만 이런 연구가 수만 명의 목숨을 살리고 있는
셈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 오늘날의 혜성이다. 혜성은 태양계 형성 당시의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타임캡슐인
셈
이다.혜성의 크기는 대략 수백m부터 수십km까지 다양하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에 접근하면 열 때문에 휘발성 성분(주로 얼음)이 녹아서 웅장하고 아름다운 꼬리가 길게 이어진다. 최근에는 생명과 관련 있는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미 종에는 우리처럼 병정 개미보다 훨씬 큰 골리앗 개미가 있거든요. 슈퍼 병정 개미인
셈
이죠. 참 골리앗은 구약성서에 나온 거인으로 키가 3m에 가까웠던 거인이라는 건 아시죠? 덩치가 큰 최홍만 선수 같이 큰 사람이나 대형 크레인을 보고도 ‘골리앗’이라고 불러요.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또 생겼어. 하얀 눈을 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 눈 때문에라도 바깥 활동은 필수인
셈
이야. 가끔씩 먼 산과 먼 곳을 바라보는 게 눈에 좋다는 사실도 알았을 거야. 이번 겨울부터라도 항상 초롱초롱한 눈을 유지할 수 있게 좋은 습관을 기르면 좋겠어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만드는 일이다. 건물을 짓고 길도 낸다. 별을 잇기 위해 별이 없는 위치에 별을 만드는
셈
이다. 건축물이 지역과 도시의 의미를 잘 연결해야 함은 물론이다.대표적인 예가 북촌 한옥마을이다. 북촌에 남아있는 조선시대의 옛길과 문화재, 조선시대 상류층이 살았던 한옥 주거지에 한식집과 한복집,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512개에 해당하는 칩이 384개씩 들어간다. 웨이퍼 하나에 2만 개 정도의 뉴런이 들어 있는
셈
이다. 브레인스케일스는 지난 1월 처음으로 완성된 웨이퍼에서 신경 신호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뇌처럼 작동, 혹은 생각(?)하는 인공 뇌는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쓸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뿌린 식빵은 일주일 동안 변화가 없었다. 자일리톨이 식빵의 유통기간을 2배로 늘린
셈
이다. 게다가 자일리톨은 맛이 강하지 않아 생선 맛에는 문제가 없다. 이 연구는 고려대 식품공학과의 황하준 교수가 도와줬다. 프리스팀이 직접 메일을 보내 부탁한 것이다. 조영도(경기 안산시 상록중 3학년)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꽤 크죠. 아무튼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입장에서는 실컷 이용만 당하다가 버려진
셈
이니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를 잡고나면 사냥개도 잡아먹는다)’이란 사자성어가 생각나겠네요.하나 둘 사라지는 친구들지구상에는 두꺼비를 포함해 개구리로 불리는 친구들이 5000여 종 있답니다. 꽤 많은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허 소장이 소개한 세라믹 필터는 개도국 수질을 정수할 수 있는 적정 기술인
셈
이다. GIST의 국제환경연구소는 개도국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적정기술’ 개발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적정기술이 필요한 곳으로GIST와 국제연합대학(UNU)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환경연구소는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45°마다 나뭇잎이 한 장씩 붙어 있으며, 위와 아래 나뭇잎의 위치는 22.5°씩 어긋나 있는
셈
이다. 이와 같이 장식은 정사각형, 원, 호와 같은 도형을 작도해 탄생했다.바다가 내려 보이는 원형 극장아직도 화산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휴양지인 타오르미나의 언덕이 있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원형극장에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