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9×1017kg/m3 정도로 원자핵의 밀도인 3×1017kg/m3와 비슷하다. 즉 중성자별은 거대한 원자핵인
셈
이다.중성자별 표면의 중력은 지구에 비해 무려 2000억 배나 높다. 이렇게 강력한 중력은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가만 놔두지 못한다. 중성자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고 해봐야 높이가 고작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복원한 거예요.”와~, 곰팡이 덕분에 격동의 세월을 지나 50년 만에 전통을 부활시킨
셈
이네요. 곰팡이만 잘 보관해도 우리 전통과 맛을 보존할 수 있다는 얘기군요!“네, 메주를 집에서 빚어 장을 담그던 세대가 사라지기 전에 메주곰팡이들을 모두 찾아 우리 장맛을 지키고 싶어요. 옛날에는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간 인슐린이다. 올해는 생명공학(BT)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업화 된 지 30주년이 되는
셈
이다.휴물린 개발의 역사는 1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기간 동안 줄곧 관여해 온 과학자가 바로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허버트 보이어 교수다. 1973년 그의 연구팀과 미국 스탠퍼드대의 스탠리 코언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측대로 완성된다. 오랜 세월 동안 수 많은 지성이 함께 다듬어 온 지식의 승리인
셈
이다. 입자 물리학 용어만 들어도 어려워하는 일반인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마지막 퍼즐을 찾아 표준모형을 완성해도 숙제는 남는다.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종자를 받아왔다. 채집을 간 날이 총 3880일에 이른다. 1년에 평균 139일을 산과 들을 누빈
셈
이다.“1989년 경기도 포천의 한 숲에서 가시박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이듬해 가 보니 더 많이 보이더군요. 처음 본 식물이라 씨앗을 받았죠.”[우리나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대표적인 덩굴식물인 가시박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에세이 ‘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이 예고편이라면 소설 개천기는 본편인
셈
”이라고 말했다. 그는 1999년 ‘코리안 페스트’라는 한국형 과학소설(SF)을 발표하기도 했다.박석재 연구위원은 자신의 블로그(http://blog.naver.com/dr_blackhole)에서 독자들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다. 그의 블로그에 가면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외 활동, 받은 장학금도 기록한다. 학생을 관찰한 3명의 담임교사가 쓴 추천서인
셈
이다. 다른 영역에 들어가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종합의견란을 최대한 활용해 넣자. 자료를 만들어 담임교사에게 제공한다. 특히 참가한 활동은 참가동기·활동내용·성과를 본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작성하자.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명이 이 병 하나로 사망했다. 당시 인구가 약 20억 명이었으므로 지구 인구가 최대 5% 준
셈
이다(기존 연구 결과는 1%에 해당하는 2100만 명). 1348년부터 1420년 사이에 유럽에서 일어난 흑사병(페스트)은 유럽의 인구를 25~30%나 줄게 했다. 미국 인구조사국은 이 시기 전세계 인구는 4억 4300만 명에서 3억 500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인은 식물에서 대부분의 식량을 얻는다. 일부러는 아니지만 사실상 채식주의자가 된
셈
이다. 식량위기를 겪지 않고 지금까지 살 수 있었던 데는 식물학자와 생명공학자들의 공이 컸다. 정착 초기에는 수경재배로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해 줬고, 그 뒤에는 화성의 환경에 적합하게 식물을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외수가 리트윗 한다면, 겹치는 사람을 제외하더라도 적어도 150만 명에게 전달되는
셈
이다. 이런 방식으로 맺어진 관계는 주변에서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까지 연결시켜 줘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미국 노트르담대의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가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