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제 제가 없는데도 차츰 알고리듬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네요! 비록 문제를 맞힌 건 최강이지만 이 정도면 아주 성공적이에요. 그럼 최강이 말한 ‘탐색 알고리듬’이 뭔지 상세히 설명해 줄게요. 우리 디지털 세계에는 세상의 모든 책을 모아 놓은 커다란 도서관이 있어요. 여러분이 원하는 ... ...
- [과학뉴스] 거대 공룡이 뇌를 식힌 방법은 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용한 증발냉각 방식은 냉장고와 에어컨 등 다양한 가전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재밌는 건 1억 만년 전 일부 공룡들도 이 같은 방식을 애용했다는 점이다. 루저 포터 미국 오하이오대 의대 생물의학과 교수팀은 공룡의 해부학 기록을 분석해 과거 거대 공룡들이 콧구멍과 입 속 수분을 증발시켜 ... ...
- 미제사건과의 전쟁...영원한 비밀은 없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영화 ‘살인의 추억’의 실제 사건으로도 유명한 화성 연쇄살인 사건의 피의자가 33년 만에 드러났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 10명의 희생자가 ... 특별편으로 구성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영원한 비밀은 없다 미제사건과의 전쟁PART1.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PART2. 0.1ng의 과학,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002년 2월,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20대 여성이 성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범인은 한 주택에 침입해 자택에 머물고 있던 20대 여성 A 씨를 ... 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15건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출원·등록했다. sikeun.lim@skku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표현을 굳이 넣은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외계행성 자체가 최초로 발견된 건 1995년보다 3년 앞선 1992년이었다. 주인공은 당시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NAIC)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였다. 그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인 중성자별(PSR1257+12)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유모가 과연 인류에게 좋은 일일지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명예의 전당’ ‘낙원의 샘’ ‘링월드’ ‘신의 망치’ 등이 있고, 최근 달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다. ISS가 하루에 16번 전 세계의 상공을 차례로 지나며 도는 데다가, 16개국이 함께 건설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의 경우, 훈련을 받는 동안 GCTC에서는 러시아 모스크바 시간으로 지냈지만, 이후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비행을 준비하는 2~3주 동안에는 모스크바보다 2시간 빠른 현지 ... ...
- [Q&A] 아프리카돼지열병 팩트체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우리를 반드시 지켜 주세요! Q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정말 멧돼지 때문에 퍼지는 건가요?현재 퍼지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북한에서 감염된 멧돼지가 옮긴 것으로 추정됩니다. 세계적으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되고도 죽지 않은 멧돼지가 발견된 적이 있어서 야생 멧돼지가 주요 ... ...
- 2019 제주수학축전에 빠져들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20주년을 맞은 ‘뼈대 굵은’ 수학축전이다. 2000년에 수학 선생님 5명이 모여 지리적 조건이 좋지 않은 제주도 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다양한 수학 체험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며 시작한 것이 어느새 자원봉사자만 수백 명에 달하는 거대 행사로 발전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교사와 학생이 먼저 ...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태양열 발전이 가능한 온실로 지붕을 대체하자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고, 슬로바키아 건축가 미칼 코박은 레이저 첨탑을 짓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답니다. 드론부터 3D 스캐닝까지. 그 동안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켜온 우리 가고일들이 봐도 정말 든든한걸? 처음 이곳에 살게된 때보다 훨씬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