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오랜만에 과학기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드라마가 나왔습니다. tvN에서 절찬리 방영 중인 ‘날 녹여주오’는 24시간 냉동인간 프로젝트에 참여한 남녀가 20년 후 깨 ... 위해서는 단세포가 아닌 여러 개의 세포로 이뤄진 장기를 냉동하는 기술부터 완성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체크는 기본닥터베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는 이대양 작가는 처음부터 만화가를 꿈꾼 건 아니었다. 그는 올해 2월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공학박사다. 나노입자를 석유 산업에 활용하는 기술을 연구했다. 2015년 국제학술지 ‘파우더 테크놀로지’에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도 ...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구조공학 두 분야를 융합한 교과목을 개발해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는 건축 디자인과 구조공학을 접목한 ‘구조의 이해’ ‘구조 디자인’ 등 교과목을 직접 개발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후배 공학도들에게 “처음부터 남보다 특별할 필요는 없다”며 “자신이 추구하는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리고 자신이 사랑하는 음악을 작품으로 나타내고자 했습니다. 1996년 미국의 건축학자 칼 보빌은 ‘빅토리 부기우기’에 어떤 기하학적 성질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작품을 이루고 있는 형형색색의 사각형 배열을 분석했습니다. 보빌은 그림에 쓴 색에 번호를 매겨 이 색 배열을 수열로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어요. 페르마가 밝힌 소수의 성질 중 가장 잘 알려진 건 ‘페르마의 소정리’예요. 이 정리는 수학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도 아주 중요합니다. 인터넷과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공개키 암호’에 그 원리가 녹아들어 쓰이기 때문이죠. 현재도 많은 수학자가 소수의 ... ...
-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공개했습니다. 과학계의 잊지 못할 역사적 순간이었는데요, 어떤 블랙홀을 어떻게 찍은 건지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제가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저와 함께 블랙홀의 세계로 함께 떠나보시죠. 도움정태현(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선임연구원), 김준한(미국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작동시킬 수 있는 회로를 설계한다. 똑같은 땅이라도 설계도가 다르면 다른 형태의 건축물이 들어서는 것처럼 목적에 따라 반도체 회로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대학원 시절부터 필자는 최근 떠오르는 5세대(5G) 통신 연구에 집중했다. 특히 주파수 합성기(Frequency Synthesizer)라고 불리는 반도체 회로가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낌새를 눈치채자마자 전원 스위치를 내리면 인공지능은 힘을 못 쓸 테니까요.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명예의 전당’ ‘낙원의 샘’ ‘링월드’ ‘신의 망치’ 등이 있고, ... ...
- 리그 오브 레전드 만드는 챔피언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많아요. 한국보다 인구가 많은 미국도 플레이어 수가 한국보다 적죠. 더 놀라운 건 들쭉날쭉해도 플레이어 수를 10년 동안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는 거예요. 한국 플레이어가 다른 나라보다 랭크 게임을 좋아하는데, 이렇게 경쟁을 즐기는 성향이 LoL를 꾸준히 플레이하는 이유예요.QLoL의 인기 비결이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변화량보다 크면 병뚜껑이 열리는 것이다.그런데, 사실 발차기로 병뚜껑을 여는 건 에너지 관점에서는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실제로 병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발차기 동작에 사용하는 에너지보다 훨씬 적은 양의 에너지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병 입구의 높이를 2cm, 병뚜껑의 무게를 5g이라고 할 때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