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해 대전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찾았다. PLUS 즉시해체 vs 지연해체원전해체가 결정되면 즉시해체와 지연해체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즉시해체는 영구정지 후 바로 해체하는 방식으로 시간을 단축하는 대신 작업자가 피폭될 위험이 있다. 해체는 ①해체준비 ②제염 ③절단/철거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망치게 된다면, 가장 큰 손해를 입는 사람은 바로 나다.2015년이 밝았다. 올해만큼은 결정 앞에서 누구보다도 당당한 사람이 되어보자. 대단한 비법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누구나 완벽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존재하지도 않는 주위의 시선을 상상하지 않으면 된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2015년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확인됐으니, 아인슈타인의 맹공격에 뉴턴이 맥을 못 추는 것도 당연해 보인다.뉴턴에게 결정적인 케이오 펀치를 날린 것이 그로부터 10년 뒤의 일이다. 뉴턴의 가장 중요한 공로는 보편 중력의 법칙을 세운 것이다. 모든 물체 사이에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는 ‘만유인력의 ... ...
-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임혜숙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향숙 명예연구원이 수상자로 결정됐어요(사진 왼쪽부터 차례대로). 함시현 교수는 치매나 암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모양으로 뭉칠지 예측하고, 뭉치는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임혜숙 교수는 인터넷 통신 장비를 더욱 ... ...
- [수학뉴스] 계산 실력이 미래의 지갑 두께를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계산 실수를 자주 해서 숫자만 봐도 겁이 나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점점 떨어진다면 눈여겨 봐야 할 소식이 있다. 계산 실력이 당장의 수학 성적뿐 아니라 미래의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와 스웨덴 고텐버그대 공동 연구팀은 계산 실력과 수에 대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1967년에 탄생한 조리대용 레이더레인지는 지금의 가치로 495달러(약 54만 원)로 가격이 결정되면서 차츰차츰 주방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❶ 레이더레인지의 최초 모습. ❷,❻ 전기 오븐은 해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기능으로 현대 주방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❸,❺ 마그네트론의 모습. ...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우주의 전 부분에 걸쳐 널리 나타나고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시공간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잰 보이언스 박사는 “전 우주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황금비율은 프랙털(자기 유사성)의 성질과 같다”며, “휘어진 시공간의 특성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주가 왜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아닌 복잡한 물체, 혹은 엄청나게 큰 물체를 짤 때는 어떤 지점에서 뜨개질을 시작할지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무작정 뜨개질을 시작했다가 원하는 물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뜨개질을 함수로 나타내 3D 컴퓨터 모델로 만들면, 어떤 경로로 바늘이 움직여야 뜨개질이 되는지 눈으로 확인해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혹독한 환경에 고립된 인류가 맞아야 하는 상황은 이렇게 매번 삶을 걸고 내려야 하는 결정의 연속이었다. 5월이 되자 영원할 것 같은 어둠과 함께 남극의 본격적인 겨울이 찾아왔다. 섀클턴은 이 때의 암담함을 이렇게 썼다. “우리는 누구에게도 도움을 요청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가까이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첫 증거를 발견하신 셈이군요.“그렇죠. 우리는 당장 더 많은 은하를 조사하기로 결정했고, 1931년에 다시 한번 거리와 속도의 관계를 확인했습니다. 사실 네덜란드의 드지터 교수가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을 풀어서 우주가 팽창하면 우리의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하셨다는군요. 벨기에의 한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