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좋다’고 하지? 음색은 소리가 갖는 특색을 말해. 우리 귀에 소리가 어떻게 들릴지를 결정하지. 예를 들어 사람들은 묵직하고 낮은 목소리를 들으면 편안하고 침착하다고 느껴.음색은 타고 나는 거라 억지로 예쁜 목소리를 만들기는 어려워. 하지만 타고난 성대가 노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겨우 5%, ...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결정해요. 그것이 작동성비를 결정하고, 암수 중에서 누가 경쟁하거나 선택할지를 결정하지요. 여러분도 좋아하는 동물을 잘 관찰해 보세요. 암컷과 수컷 중 누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하나요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작아져 더 쉽게 미끄러진다는 뜻이지. 마찰계수는 접촉하는 두 표면의 상태에 따라 결정 돼. 그래서 바닥에 얼음이나 물, 비닐 같은 물질이 있으면 마찰계수가 달라져서 쉽게 미끄러지는 거야. 이그노벨상이란?‘진짜 있을 것 같지 않지만 진짜(Improbable Genuine)’라는 뜻의 ‘이그’를 붙인 괴짜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부르지요.압력차 귀는 숨관의 길이와 직경에 따라 잘 들을 수 있는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되요. 귀뚜라미의 귀는 여치보다 낮은 3000~6000 헤르츠의 주파수에 잘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귀뚜라미와 여치의 노래가 같은 주파수에서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죠. 그래서 우리는 귀뚜라미 노래는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대본을 쓰는 것이지요. 이 때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을 정해야 하는데 단번에 뉴턴으로 결정했어요. 그동안 어과동의 ‘과학자 VS 과학자’를 보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이었거든요. 과학자이면서 연금술사였던 뉴턴에 친구들도 관심을 가졌고, 많은 공부와 자료 조사로 쓴 대본으로 당당히 은상을 ... ...
- 내가 어떤 인재인지 알고 싶다고? 그럼 지니움으로 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미래를 생각하며 세상을 바라보거든.진로적성검사를 하고 진로탐색을 하면 미래가 결정되냐고? 그렇진 않아. 성장하면서 관심과 능력뿐 아니라 꿈도 바뀔 수 있거든. 진로탐색으로 꿈을 정해 도전하다 보면 꿈을 이뤄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 이렇게 얻은 경험은 커가면서 꿈을 세우고 그 꿈을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핵심이냐고? 유전자에 의해 정해지는가, 아닌가가 두 이론 중 어떤 것이 맞는지를 결정하거든. 그런 의미에서 쌍둥이는 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점이 핵심 포인트! 특히 쌍둥이 중 한 명만 특정 병에 걸린다면, 두 명의 유전자를 비교해서 과연 유전자의 문제인지, 아니면 생활하는 환경이 ...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난자의 개수야(난자의 개수야~)! ● 이란성 쌍둥이, 엄마는 키가 크다? 이란성 쌍둥이를 결정하는 특정한 유전자가 있대. 이 유전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FSH(난포자극호르몬)의 양이 일반사람들보다 훨씬 많다는군. FSH는 뇌하수체에서 나오는데, 난자를 갖고 있는 세포인 ‘난포’를 자라게 하는 ... ...
- 아이스크림 VS 아이스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아이스바유지방이 거의 들어 있지 않아 단단해서 하드아이스크림이라고도 불러요. 얼음결정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서 질감이 거칠고, 훨씬 차갑게 느껴져요. 또 아이스크림에 비해 빨리 녹지요. 아이스바는 같은 온도에서 같은 시간 동안 물을 얼린 얼음보다는 단단하지 않아요. 그 이유는 순수한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계획, 지상에 있는 건물들의 배치도 꼼꼼하게 검토하고요. 선로의 깊이, 위치와 길이가 결정되면 기계나 폭약을 이용해서 둥근 아치형의 구멍을 뚫어요. 아치형은 위에서 내려 누르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거든요.구멍을 뚫은 것만으로 터널이 완성되지 않아요. 구멍을 뚫은 암석 덩어리, 즉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