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한 알고리즘이 동영상에서 다각도의 얼굴 이미지를 뽑아 3차원 그물 구조로 만든 다음, 여기에 실제 피부와 동일한 색깔과 질감을 입히는 원리다. 트라이큐빅스 관계자는 “얼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실제 피부색을 제외한 조명 등 다른 빛을 제거하는 기술이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회. 그런데 어느 날 주인공만 우연히 자신의 마음을 숨길 수 있는 기능을 얻게 된다. 다음 웹툰에 연재 중인 ‘좋아하면 울리는’은 내년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90개 나라에서 방영될 예정입니다. 이 웹툰은 특이하게도 스마트폰 알람 앱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요. 아이돌 가수가 알람을 많이 ...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난 11월 6일 뉴욕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 지역 부문 시상식에서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의 허준이 박사가 물리학 및 공학 ... 정리인데, 허 박사는 대수기하학의 도구로 문제를 해결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허 박사가 다음에 받을 상은 무엇일까요 ... ...
- [수학뉴스] 말 빨리 배우게 하고 싶다면 동화책보단 수 세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과의 데이비드 퍼퓨라 교수는 만 3~5세 아동 114명의 수학 능력과 언어 능력을 가을과 그 다음 해 봄에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가을과 봄 사이에 아동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조사했습니다. 하루 평균 동화책을 읽은 횟수, 월 평균 수학을 공부한 횟수 등을 물었지요. 연구팀은 언어와 수학을 공부한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경험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신기록 도전이라는 과제를 내줬지요. 경영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맞닥뜨리게 돼요. 혼자 하면 오래 걸리는 일을 어떻게 여러 사람에게 분배해 효과적으로 일할까? 일에 대해 잘 모르는 직원들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할까?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윤석임 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였다. 말구아르 교수에게 김치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묻자 다음과 같이 답했다. “그로텐디크 교수님의 집에서 직접 김치 담그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담가 나눠 먹었습니다. 맛있기는 했지만, 산도가 강해 매일 먹기는 힘들었어요. 하지만 음식을 보존하는 아주 좋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을까요? 그 모양이 정다각형이고, 이웃한 정다각형끼리는 변을 무조건 맞대야 한다면 다음 3가지(그림 ➊~➌) 경우 밖에 없습니다. 이런 조건이 없다면 정삼각형 6개를 묶어 아래 그림 ➍번처럼 오각형 무늬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지요. 볼록오각형으로 면을 채워라!그러고 보니 정삼각형과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한 개도 없고 선분이 짝수 개 있으니 레드가 그릴 차례예요. 만약 여러분이 레드라면, 다음 두 가지 전략 중 어떤 전략을 택할 건가요? 선분을 하나씩 추가하면 상자 4개를 연달아 완성할 수 있으니 대부분 첫 번째 전략을 선택하고 싶을 겁니다. 그런데 상자 4개를 완성했어도 여전히 상자가 5개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데 시간의 80%를 쓰고, 나머지는 코딩하고 디버깅하는 데 썼거든요. 깊게 생각하고 그 다음에 일을 하는 게 중요하죠. 우리나라에 구글 같은 회사가 못 나오는 이유도 그런 데 있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에서는(깊이 생각하기보다는) 응용만 배우기를 권하거든요. 뭔가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해서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긴 시간 동안 한 가지에 몰두하고, 마무리 짓는 감회가 어떤지 묻는 질문에 김 연구사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우리가 가진 역량과 노력을 다해서 후회는 없습니다. 이제 끝난다고 하니 텅 빈 느낌이 듭니다만, 우리 문화재 수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것은 분명합니다. 문화재는 살아 숨 쉬는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