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화분매개자 역할을 한답니다. 화분매개자는 속씨 식물의 씨앗을 만들고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데 꼭 필요해요.●수분 : 꽃의 꽃가루가 암술에 붙어 수정되는 과정.현장교육에 모인 대원들은 화분매개자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 주변에서 탐사를 진행했어요. 이화여자대학교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많은 실수 가운데 일부를 차례로 덜어내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다음
과 같이 얻은 실수 조각의 집합을 ‘칸토어 집합’이라고 부른다. 칸토어 집합에 속한 원소는 무한히 많다. 그렇지만 이미 무한히 많은 수를 지웠다. 따라서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보다는 분명히 원소의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동생은 파란 방을 고르겠지. 선분의 꼭짓점 색이 다르다는 슈페르너의 가정을 만족했어.
다음
으로 그림➋처럼 선분 안에 점을 찍고 두 사람을 번갈아 배정하자. 모든 점마다 동생 혹은오빠에게 어떤 방이 좋은지 물어보고 원하는 방 색깔로 칠해. 슈페르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색깔을 양 끝점으로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전화를 끊은 조우진은 애써 침착한 표정을 유지하며 아이들을 향해 말했다.“저, 여러분, 한창 재미있는데, 나쁜 소식을 전하게 되어 미안해요. 견학을 잠시 중단해야 할 것 같아요. ... 맞은편에서 경비로봇 한 대가 다가와 싸움에 끼어들더니 순식간에 부서진 채 쓰러졌다. -
다음
호에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1976년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일생의 역작인 ‘이기적 유전자’를 발표했다. 비판자들은 이 제목이 극단적인 유전자 결정론을 내포한다고 분노했다. 정작 ... 쓴 서문에서 이 문장은 틀렸으니 마음속에서 삭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화에서 이야기하자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
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정체를 밝힐 아이디어는 독일의 수학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게서 나왔다. 아이디어의 이름은 ‘데데킨트의 절단’. 그는 ‘유리수 전체를 크기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개미를 아크릴 물감으로 표시해 관찰했어요. 그 결과 다친 개미들 중 95%가 회복해
다음
전투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심지어 몇몇 개미는 다친 지 한 시간도 안 돼 다시 전투에 나섰지요.연구를 이끈 에릭 프랭크 연구원은 “분석 결과 다친 개미를 구조해 돌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무리의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도 만들었답니다 ... ...
[과학뉴스] 철새의 장거리 비행은 바다 냄새 덕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자석을 붙여 자기장 감지를 방해한 그룹’ ‘후각을 마비시킨 그룹’으로 각각 나눈
다음
, 행동이나 움직이는 거리 등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일반 그룹과 자석을 붙인 그룹은 단거리나 장거리 비행에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후각을 잃은 슴새들은 대양을 건너야 하는 장거리 비행에서 방향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유도만능줄기세포(iPSC·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야마나카 교수팀은
다음
연구 프로젝트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아에 삽입해 개체를 생성해 내기로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생깁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자라 만들어진 개체의 20%에서 암세포가 발견된 겁니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