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구석구석을 돌아다닌다고 해도 온전한 코끼리를 그릴 수 없는 것처럼, 답사만으로 나라 전체를 그리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에요. 그렇다고 전혀 답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에요. 김정호는 전부터 내려오는 지도를 철저히 검증하고 연구한 뒤, 미심쩍은 곳은 직접 답사를 통해 확인했어요.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조리개로 찍었을 때는 상이 가장 또렷하게 맺히는 초점거리보다 가깝거나 멀어지면 상이 전체적으로 흐려졌다. 하지만 고양이 눈과 네모 눈동자는 결과가 판이 하게 달랐다.고양이 눈은 세로, 소 눈은 가로가 잘 보여고양이 눈은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도 세로선은 또렷하게 보였다. 하지만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용골은 요트 밑에 연결된 묵직한 납덩어리다. 겉보기와 달리 그 무게가 요트 전체 무게의 반 정도인 용골은 요트의 무게 중심을 아래로 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요트가 많이 기울더라도 뒤집히지 않고 오뚝이처럼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용골이 무거울수록 요트가 많이 가라앉고, 물살에 의한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전하며 변화하고 있고, 일상 문화와도 결코 동떨어져 있지 않다. 시야를 자연과학 전체로, 나아가 세계를 바라보는 철학과 문화까지 확대해 보면, 앞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이 뻗어나갈 길은 무궁무진할 것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푸른 바다이다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처음 주입한 양, 접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의 양, 최고 수준일 때의 양, 감염 기간 전체의 병원균 양을 측정해야 한다. 이 과정은 어려울 뿐 아니라 위험하다. 에볼라에 감염된 박쥐와 가까이 지내며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병원균을 정밀하게 측정할 도구가 부족하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른 국제올림피아드와 마찬가지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대표단 선발과 참가 과정 전체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대회다. 특히 러시아와 독일 등 유럽의 과학 강국과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Q. 올해 대회는 어떤 특징이 있나 참가 학생들과 인솔 교사 및 교수들에게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 마리가 벌집을 발견하면 페로몬을 발라 한 번에 5~6마리 가량이 달려들어 벌집 전체를 공격한다. 이들이 한 번 왔다 가면 벌집 하나가 초토화 된다.이렇게만 보면 장수말벌로 인한 피해가 더 클 것 같지만, 의외로 장수말벌은 ‘수비’하기가 편하다. 일단 등검은말벌에 비해 꿀벌을 찾는 빈도수가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명사지만, 모든 뱀이 타이판뱀이나 살모사처럼 독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전체 2700여 종의 뱀 중에서 타이판뱀이 속한 코브라과와 살모사가 속한 살모사과, 그리고 일부 뱀과를 제외한 나머지 2400여 종의 뱀에게는 독소가 전혀 없다. 그렇다면 왜 타이판뱀과 살모사와 같은 일부 뱀들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분석했을 때 나오는 마이크로파 신호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토대로 이량체와 전체 분자 사슬의 중간적인 특징을 가진 삼량체 신호를 추정하고 찾아내는 거죠.”실험 결과는 대성공이었고, 루오프 교수는 대학원 1학년생 신분으로 세계 최초로 시안화수소 삼량체를 발견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시간 단위로 샘플을 채집했다. 동시에 그들이 머문 자리에 있는 미생물 샘플도 수집했다. 전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같은 장소에 있었던 사람끼리 공유하는 미생물을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과연 언제쯤 ‘미생물 수사’가 현실로 다가올까. 아직까지 e메일도 법적인 증거 능력을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