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면을 먹을 때 고기를 포함해 다양한 반찬을 더 먹는 경향 때문”이라고 말한다.어쨌든
전체
탄수화물 섭취는 조금씩 줄고 있다. 문제는 가공식품을 통해 먹는 당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2년 조사결과 2년 전(2010년)보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가 3.1% 증가했다.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방법으로 구한다. 이를 이용해 ‘팀 타격 지수’를 구할 수 있다. 팀 타격 지수는 리그
전체
에서 팀의 타격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통계다. 유사한 방법으로 팀투수 지수도 구해, 구장 효과를 제외한 팀의 정확한 타격과 투수력을 구한다. 그런데 만약 타격이 아주 좋지만(팀 타격 지수는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적분하면 기댓값을 구할 수 있는데, 확률함수는 적분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며 “
전체
측도가 1인 확률함수가 정의되고 르베그 적분으로 기댓값이 정의되면서 확률론이 획기적으로 발달했다”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었다는 관점이다. 암컷이 수컷의 정자를 보관하는 것도 종
전체
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됐을 수도 있다. 논문의 말미엔 이런 구절이 적혀있다.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여기서 우리나라가 늦게 배우는 항목 수와 비교 대상 국가에만 있는 항목 수를 뺀 값이
전체
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소단원 항목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에 이 소단원이 있는지, 있다면 몇 학년에 등장하는지를 알아본 수치다. 국가마다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때도 뒤꿈치로 먼저 밟는다. 걸어가는 동안에는 왼발이든 오른발이든 앞에 있는 발은
전체
가 닿아 있지만 뒤에 있는 발은 뒤꿈치가 들린다. 그러면 뒤꿈치를 축으로 삼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몸무게)으로부터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장대높이뛰기 선수가 장대를 축으로 삼아 ... ...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960년 이후 전 세계 출산율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전체
인구수는 계속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연합(UN) 인구부서 책임자 존 윌모스는 현재 약 73억 명인 세계인구가 2100년에는 약 112억 명이 된다는 결과를 8월 10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15 연합통계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윌모스는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있다는 게 단점이었다. 게다가 곡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재는 것도 문제였다. 지구
전체
를 평면에 나타낸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지구가 투명한 공이고, 그 중심에 불빛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지구에 종이를 그대로 갖다 대면 땅의 모양이 종이에 그림자로 나타날 것이다. 이것이 바로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순간부터는 양자세계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수학적 풀이 과정에서는
전체
를 연속체라고 가정하거든요. 어느 지점에서는 모순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거지요.” 현실을 보고 만든 편미분방정식이지만, 그 방정식을 풀어서 구한 함수가 현실적인지는 모른다는 얘기다.편미분방정식에서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중 일부만 암호화하는 기법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RSA 혹은 AES 알고리듬을 따라가되,
전체
의 20~30%정도만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비율 등의 정보는 암호화된 파일의 헤더(데이터 파일의 정보가 보관돼 있는 부분)에 첨부된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RSA알고리듬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