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비슷해 ‘땅 위의 위성’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장비 주위뿐 아니라 대기 전체의 질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실제 위성과 역할이 비슷하다. 판도라를 움직이는 건 전자기기로 가득 찬 노란 박스인데, 항상 온도를 20℃로 맞춰줘야 한다. 박스를 열면 온도가 달라져 고장 나므로 ‘절대 열지 말라’는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프랑스 외과의사인 폴 브로카는 뇌전증*에 걸린 환자를 만났어요. 이 환자는 오른쪽 몸 전체가 마비됐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나 지능은 보통 사람과 같았답니다. 브로카는 이 환자가 세상을 떠난 뒤에 뇌를 해부했는데, 왼쪽 뇌의 이마엽 아랫부분이 손상돼 ... ...
- [수학뉴스] 한국 2015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3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가를 기준이 되는 점수 커트라인을 정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메달 수상자는 그 수가 전체 참가자의 절반을 넘지 않아야 하고, 금, 은, 동메달 수의 비가 1:2:3이어야 합니다. 조건에 맞게 커트라인을 구해 보니 금메달과 은메달을 받을 수 있는 최저점이 26점, 19점으로 역대 가장 낮았습니다.그렇다면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일어난다. 흰자를 많이 치대면 치댈수록 공기방울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거품 전체 크기는 커진다. 또 거품벽이 단단해지면서 거품도 오래 간다. 잘 만든 달걀흰자 거품은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하나둘씩 터지면서 사라진다. 심한 ... ...
- [수학뉴스] 오징어처럼 자유자재로 위장할 수 있다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인공 색소체의 세포 하나에 전기 자극을 주면, 주변의 세포까지 함께 반응하면서 결국 전체가 변하도록 규칙을 만들었지요. 그 결과, 파도타기처럼 피부색이 변하면서 다양한 패턴을 보이는 게 가능해졌습니다.연구팀은 “이 인공 색소체로 개발한 인공피부를 위장복이나 다양한 색으로 빛나는 옷,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병에 걸릴 확률이 진단이 맞을 확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하물며 메르스는 전체 인구 중 186명이 감염된 병이다. 걸릴 확률이 십만 분의 일보다 낮다. 김 교수는 이 경우 반복 검사를 통해 진단 오류를 줄인다고 말했다.빅데이터로 더욱 정확한 진단~!우리를 위협하는 질병이 점점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예각과 둔각이 비대칭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요.세계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가 예술품과도 같아서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2015년 꼭 가봐야 할 명소 52곳’ 중 하나로 뽑혔답니다. 이제는 세계적인 명소가 돼버린 DDP. 이곳의 매력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격적이면서도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1개 당 6가지 스타일의 인형을 만들 수 있다. 얼굴 모양 브릭이 모두 4개이므로, 전체 경우의 수는 4×6=24가지다.이처럼 ‘조합’이란 여러 개 가운데서 순서에 상관없이 짝을 지을 때 나오는 경우의 수를 말한다. 브릭으로 만든 신기한 작품!사람은 보통 작고 단순한 것보다 크고 복잡한 것에 끌린다.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동 연구팀은 외계행성에 관한 NASA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은하 전체에서 생존권역에 속한 행성의 개수는 몇 개일지 계산했다. 이들은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을 외계 항성계에 적용했다.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은 18세기 티티우스와 보데라는 두 천문학자가 발견한 법칙으로, 태양으로부터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RNA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RNA다. 인간게놈프로젝트 결과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는 전체 DNA의 1%에 불과한 2만 개 정도였다. 나머지 99%의 DNA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쓰레기 DNA’다. 하지만 2012년 9월 단백질을 못 만드는 쓰레기 DNA라고 할지라도 80% 가량은 전사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30여 개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