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말을 글자로 적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하며 직접 글자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처음으로 만든 글자 4개,이라고 이름 붙였지요. 10대 형제가 만든 이 문자는 풀라니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어요. 심지어 기니아를 비롯해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등 주변 나라에서도 이 글자를 배우기 ... ...
- 도전1 바다에서 우주 탐사 연습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중점적으로 연습해요. 매일 3~5시간씩 표본을 채취하고, 각종 장비를 시험하지요. 올해는 처음으로 이동식 주사현미경으로 표본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증강현실 기기를 이용해 원거리에서도 명령을 주고받고, 쓰러진 우주비행사를 기지까지 운반하는 등의 훈련도 했답니다. 올해 프로젝트는 ... ...
- 게임활동 ‘레벨업’ 위한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학생은 “친구들과 이야기하며 게임에 함부로 돈 쓰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됐다”며, “토론배틀에서 찬성팀이 준비를 많이 해와 반대팀이었던 내가 설득을 당해서 재밌었다”고 말했답니다 ... ...
- 똥으로 호랑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박종화 교수와 서울대학교 이항 교수가 속한 연구팀은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호랑이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하는 데 성공해 사자, 눈표범과의 차이점을 밝혀냈답니다. 그리고 2016년에는 표범의 유전자 지도까지 해독하면서 여러 빅 캣의 유전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는,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인 장이권 교수는 “생물의 흔적을 주제로 한 캠프는 처음이었는데, 새로운 시도일 뿐만 아니라 ‘지구사랑탐사대’ 이름에 걸맞은 ‘바른 시도’였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캠프가 대원들이 자연을 바르게 사랑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캠프를 마무리했어요 ... ...
- 박기자의 에끌레어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호텔제과제빵학과) Q오늘 수업 한 줄 평을 해주신다면?박 기자님, 처음인데 매우 잘했어요! 계속 힘을 균일하게 줘서 에끌레어 반죽을 짜는 게 어려운데 말이에요. 힘이 고르지 않으면 완성된 슈 페이스트리가 울퉁불퉁해지거든요. 또, 정확한 계량도 중요해요. 이건 다른 과자나 빵을 만들 때도 ... ...
- [실전!반려동물] 우리집 막내가 새끼를 낳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어미젖과 비슷한 온도인 40℃ 정도로 데운 후, 사료를 섞어 이유식을 만들어 주세요. 처음에는 손가락에 이유식을 묻혀 냄새를 먼저 맡게 한 후, 관심을 보이면 손가락을 조금씩 움직여 밥그릇까지 이동시키면 된답니다. 새끼들은 생후 3주부터 주변의 물건을 삼키는 구강행동을 해요. 특히 래브라도 ... ...
- [Go!Go!학자] 고고학자들도 속아 넘어간 희대의 사기극?!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70만 년 전까지 당겨졌지요. 사실 후지무라 신이치의 뛰어난 유물 발굴 능력 이면에는 처음부터 의심스러운 점이 한둘이 아니었어요. 예를 들어, 후지무라 신이치가 발견한 유물은 주변 국가의 구석기 유물과 너무 달라서 서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 힘들었어요. 또 수십 km나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터줏대감이지만, 제주 자생종은 아니에요. 1924년, 제주 산림을 조성하기 위해 일본에서 처음 들여왔고, 비자림로 숲엔 1970년대부터 인위적으로 심었어요.도로 확장 찬성 측은 일제 삼나무가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바닥에 드는 햇빛을 가려 오히려 제주 자생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allergy) ‘알레르기’라는 말은 1906년 오스트리아 소아과 의사 클레멘스 폰 비르케가 처음 썼어요. 천연두 백신이나 말 혈청 주사를 맞은 환자들이 두 번째로 같은 주사를 맞을 때 나타나는 과민 반응을 ‘알레르기(allergy)’라고 불렀지요. ‘다른’ 혹은 ‘이상한’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allos’와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