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료를 채취한 뒤 보관했다가 뒤따라 도착하는 회수선에 이를 실어 보내는 임무를 처음으로 시도합니다. 엑소마스 2020은 최초로 화성 표면에서 2m 깊이까지 땅을 시추해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전기·전자┃차세대 AI 반도체 확대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더욱 완벽한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용해 기계를 작동시킵니다. 이런…. 몇 번 움직이던 호미가 그대로 멈췄습니다. 처음 조립할 때 크랭크와 연장 봉을 연결해주는 핀이 조금 엇나갔는데, 빨리 만들고 싶어 무시하고 지나갔더니 결국엔 크랭크가 갈라지고 말았습니다. 3D 프린터를 다시 16시간 돌려(헉!) 새로운 크랭크를 만들어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바로, 일본 최초의 여성 우주인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 박사다. 무카이 박사를 처음 만난 건 내가 우주비행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은 2010년경이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우주생명의학연구소 책임자이자 국제우주대학(ISU)의 방문교수였던 그와 ISU 교육프로그램에서 함께 강의를 한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있으면 된다는 걸 증명하는 문제입니다. 1852년 영국의 대학생이던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질문한 이래로 많은 수학자가 도전했고, 1970년대에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두 교수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해결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컴퓨터를 사용한 증명만 있어서 컴퓨터를 쓰지 않은 증명을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떤 정보를 잡아내야 할까? 삐용삐용~, 빅데이터 환상주의보!빅데이터의 시대가 처음 열리고 사람들은 흥분에 휩싸였어요. ‘이제 빅데이터만 있으면 모든 걸 예측할 수 있고 모든 걸 제어할 수 있어!’라고 생각했죠. 초반에 특히 주목받았던 것은 ‘SNS 분석’이었어요. 전세계의 사람들이 ... ...
- 소행성 충돌로 도시가 불바다? 막아라, 지구방위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모이다!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가상충돌 D-6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 도움김명진(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조성기(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안상현(한국천문연구원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이테와 탄소연대측정법을 동시에 적용해 민물고기 나이를 추정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란다. 친구들도 다 비슷한 나이예요?연구팀은 빅마우스 버팔로가 딱딱한 뼈를 가진 경골어류 1만 2000종 중에서 가장 장수하는 어종이라고 밝혔어. 연구에서 분석한 빅마우스 버팔로 가운데 85~90%가 80세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불리는 간장떡볶이는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처음 언급됐는데, 실제 궁중떡볶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권 책임연구원은 “떡볶이에 관한 기록은 오병(熬餠·볶은 떡)을 먹었다는 기록만 승정원일기에 남아있다”며 “어쩌면 조상들도 우리처럼 매콤한 고추장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은 계산을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컴퓨터가 필요하다며 ‘양자컴퓨터’의 작동 방식을 처음 언급했어.파인만 이후 전세계 국가 기관과 기업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힘썼는데, 1998년에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2000년에 IBM에서 양자컴퓨터를 만들었고 양자컴퓨터만 전문으로 개발하는 캐나다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5세기 인도의 수학자 핑갈라가 쓴 책에 처음 등장했어요. 유럽에 아라비아 수(0~9)를처음 소개한 13세기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수학자인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 유명해지면서 피보나치 수열로 불리게 됐죠. 피보나치 수열 외에도 주변에서 쉽게 수열을 찾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다보탑은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