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료를 채취한 뒤 보관했다가 뒤따라 도착하는 회수선에 이를 실어 보내는 임무를 처음으로 시도합니다. 엑소마스 2020은 최초로 화성 표면에서 2m 깊이까지 땅을 시추해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전기·전자┃차세대 AI 반도체 확대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더욱 완벽한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불리는 간장떡볶이는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처음 언급됐는데, 실제 궁중떡볶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권 책임연구원은 “떡볶이에 관한 기록은 오병(熬餠·볶은 떡)을 먹었다는 기록만 승정원일기에 남아있다”며 “어쩌면 조상들도 우리처럼 매콤한 고추장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성공한 건 처음이었습니다. 이후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팔뿐만 아니라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그르노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생명공학벤처 클리나텍 ... ...
-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7일 공개했습니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은 1900년대 초 프랑스 수학자 자크아다마르가 처음 제기한 문제로, ‘아다마르 다양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등주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문제입니다. 등주 부등식은 다양체 위의 폐곡선의 둘레와 폐곡선이 만드는 면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나리오에 따르면 2019 PDC는 최근까지 존재조차 몰랐던 소행성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궤도부터 추정하려고 서둘렀어요. 왜 2019 PDC는 지금껏 발견되지 않았을까요? 미발견 소행성이 많은 이유2019 PDC처럼 지금껏 발견하지 못한 근지구소행성은 매우 많아요. 2019 PDC가 속하는 지름 100~300m급은 약 87%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화가, 단독 전시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옥스퍼드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에서 열려요. 이번 전시회의 주인공은 지난 2월에 처음 소개된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화가 ‘아이다(Ai-Da)’예요. 영국의 로봇 회사인 엔지니어드 아트가 개발한 아이다 로봇은 갤러리 주인인 아이단 맬러의 제안으로 만들어졌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19세기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이테와 탄소연대측정법을 동시에 적용해 민물고기 나이를 추정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란다. 친구들도 다 비슷한 나이예요?연구팀은 빅마우스 버팔로가 딱딱한 뼈를 가진 경골어류 1만 2000종 중에서 가장 장수하는 어종이라고 밝혔어. 연구에서 분석한 빅마우스 버팔로 가운데 85~90%가 80세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용해 기계를 작동시킵니다. 이런…. 몇 번 움직이던 호미가 그대로 멈췄습니다. 처음 조립할 때 크랭크와 연장 봉을 연결해주는 핀이 조금 엇나갔는데, 빨리 만들고 싶어 무시하고 지나갔더니 결국엔 크랭크가 갈라지고 말았습니다. 3D 프린터를 다시 16시간 돌려(헉!) 새로운 크랭크를 만들어야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0년에는 CAN 통신이 쉽게 해킹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 입증되기도 했다. 당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와 럿거스대 연구팀은 타이어의 압력 데이터를 가로채 차량이 움직이는지 파악하고, 그 데이터를 조작해 자동차가 정상 주행이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최근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은 계산을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컴퓨터가 필요하다며 ‘양자컴퓨터’의 작동 방식을 처음 언급했어.파인만 이후 전세계 국가 기관과 기업이 양자컴퓨터 개발에 힘썼는데, 1998년에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2000년에 IBM에서 양자컴퓨터를 만들었고 양자컴퓨터만 전문으로 개발하는 캐나다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