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살펴보도록 하자.[문] 지금 고리 모양의 밭이 있는데, 안쪽 둘레가 92보, 바깥쪽 둘레가 1백22보, 둘 사이의 간격이 5보이다. 밭의 넓이는 얼마인가?[답] 2무 55보2(여기서 ‘무’(畝)는 넓이의 단위로 1무 = 2백40보2이고 ‘보’(步)는 거리의 단위로 1보 = 6자 = 1백82cm이다).이 문제에 대해 제시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소리바다’(www.soribada.com)는 하루만에 가입자가 1만명을 넘어섰고, 6개월이 못돼 1백10만을 돌파했다. 언더그라운드 음악 애호가들은 오프라인에서 대중적으로 상업화가 어려워 발전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예술 분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활성화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 통신기술을 ...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생각했다. 후작궁 북동쪽 날개로 들어가면 놀랄만한 풍경이 펼쳐진다. 벽면을 빙 둘러서 5백년도 더 된 실물대의 정교한 그림이 가득 그려져 있는데, 르네상스 화가 만테냐의 정교한 솜씨에 눈이 휘둥그래진다. 더욱이 천장을 올려다보면 입이 더 벌어진다(고개를 완전히 뒤로 젖히고 천장을 ... ...
- 에어울프 현실화될 날 멀지 않아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달아 양력을 얻는 방법으로 비행속도를 증가시켰다.미항공우주국(NASA)는 이 연구에 1백만 달러가 넘는 지원을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자이로플레인은 수직이륙에 성공했다. 현재 시험비행을 계속하면서 이론적인 단점을 조금씩 수정해가고 있다 ...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안고 있는 러시아로 인해 2년 이상 지연됐다. 미국은 이 계획과 관련해 러시아에 약 5천7백억원을 지불한바 있다.돈은 돈대로 소요되면서 계획이 지연됐기 때문에 러시아를 파트너로 선정한 일에 대해서 미국 내의 비난도 만만치 않은 형편이었다. 따라서 러시아 정부로서는 미르에 대한 정치적, ...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과학동아 l2001년 02호
- 5천개에 하나꼴로 수소-1 대신 동위원소인 중수소(원자량이 2)를 포함한다. 또한 5백개마다 산소-16 대신 산소-18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모든 물분자가 똑같다고 할 수 없다.그렇다면 ${10}^{18}$개의 물분자를 포함하는 보통의 작은 눈 결정은 어떨까. 이 구성 분자들 중 약 ${10}^{15}$개는 모양이 나머지와 ...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산업에서도 여과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반도체 고집적화 기술의 획기적인 개발로 현재 2백56MB의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이처럼 고집적화가 이뤄질수록 이에 비례해 분순물이 전혀 없는 초순도의 물이 요구된다.현재 0.1미크론 크기까지 회로선폭이 줄어들고 있다. 이 정도 크기에서는 0.1미크론 ...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따르면 지구 주위에는 지름 10cm 이상인 우주쓰레기가 7천개, 1-10cm의 우주쓰레기가 1만7천5백개, 0.1-1cm의 우주쓰레기가 3백50만개 이상 지구를 떠돌고 있다고 한다. 죽은 인공위성이든, 살아있는 인공위성이든, 아니면 인공위성을 우주에 발사하면서 발생한 쓰레기든 모두 최소한 초속 7.9km 이상의 빠른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org).정식 버전은 6월에 나올 예정이다. 애스펙트J 베타버전은 아직 불완전하지만 이미 5백여명의 프로그래머가 이 언어로 프로그래밍 작업을 하고 있다.이 언어를 사용한 한 프로그래머는 평소에 2주 걸릴 작업을 단 4일만에 끝냈다고 밝혔다.킥잘레스 박사는 새로운 개념의 언어가 15-20년 뒤에는 ...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유럽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기술에 비해 초전도 기술은 약 1백배의 속도를 갖고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한편 전력 수송 분야에서도 초전도체가 연구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 물질로 전선을 만들면 더 많은 전류를 나를 수 있어서 전력수송의 효율이 높아진다. 뿐만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