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여러가지 효과를 줘서 촬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상황에 따라 컬러 또는 흑
백
으로 촬영하는 것은 물론 일종의 컬러 필터 효과를 내 갈색이나 녹색 톤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역상 필름을 사용해 촬영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이것만이 아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동시에 소리를 ... ...
아인슈타인이 이발사에게 들려준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되는 일의 배후에 담겨진 자연과 과학 법칙들을 다루고 있다. 물, 지구 등 주제별로 묶인 1
백
여가지 현상이 일어나는 과학적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과학을 일반인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기 위해 애쓴 저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자주 마주치는 복잡하고 놀라운 현상에 대해 분명하고도 간략한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작은 와인잔을 만들어냈다고 지난해 12월 7일 NEC가 발표했다. 잔의 크기는 외부지름이 2천7
백
50nm(나노미터, 1nm=${10}^{-9}$m)로 나노단위다.이 와인잔을 만드는데 쓰인 기술은 최정밀 3차원 나노 공정기술로 현재 반도체 기술이 직면하고 있는 집적화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현재 ... ...
운석에서 박테리아 합성물질 나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자철광 결정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관처럼 생긴 이 화석의 크기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
백
분의 1로 매우 작다.지난 1996년 연구팀은 화성 운석에서 화석화된 박테리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박테리아의 화석으로 주장된 포도 모양의 탄소화합물 흔적이 지구상에서 덧붙여졌을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다리미 바닥 안에는
백
운모가 들어있다.바로 이것이 구들장의 재료가 된다. 절연체인
백
운모 구들장은 아래의 뜨거운 열기를 한꺼번에 방 안으로 내뱉지 않게 해주기 때문이다. 구들 장인이 구들장의 재료조차도 어떤 돌을 쓰는 것이 적합한지를 연구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이 외에도 장인의 ... ...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하는 자폐증 환자, 레인맨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남긴 유산은 1949년형 자동차 한대와 아버지가 공들여 가꾼 장미 정원. 그리고 뒤늦게 3
백
만 달러라는 거액의 유산이 자폐증 환자인 형 레이몬드에게 돌아가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찰리는 거액의 유산을 가로챌 목적으로 형을 요양원에서 데리고 나온다. 형이 비행기 타는 것을 거부하자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황교수_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몇몇 전문기관에서 3년째 진행하고 있어요. 8
백
만 달러가 필요하고요. 그 외에도 영국, 미국, 일본 등에 퍼지고 있습니다. 애완동물 복제가 사회적 요구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죠.홍재_ 우리나라에서도 호기심이 아닌 진지한 요청이겠군요.황교수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더 고주파수의 전파를 관측할 수 있다. 전파 중에서 파장이 1-3mm 대역(주파수로는 70-2
백
30GHz 대역, 1GHz=109Hz)의 관측이 가능하다.서울대 전파망원경이 관측 가능한 mm 파장대역은 별과 별 사이에 존재하는 성간분자구름이 많이 검출되는 부분이다. 성간분자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우리은하에 대한 ... ...
의료모의시술과 화상전화 시대 앞당긴다 영상시스템연구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필요하다.현재 연구실에서는 두가지 부문 모두에서 상당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 6
백
MHz급 펜티엄 PC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압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돼 시험중이다. 또한 휴대전화에 사용될 수 있게 추진되고 있는 영상 반도체칩도 저전력으로 설계돼 개발완료 단계에 이르고 있다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1천km에 못 미치고 나머지는 이보다 훨씬 작다. 현재 지름이 1km보다 큰 소행성의 개수는 1
백
만개로 추정된다. 그리고 소행성대를 벗어나 지구 근처를 기웃거리는 소행성들도 상당수가 있고 더욱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도 발견되고 있어 인류에게 커다란 충격을 가져다주고 있다. 물론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