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당대 최고의 번역가’로 기억한다. 그가 지난 20여년 간 내놓은 번역서는 무려 2
백
여권에 이른다.그런데 국내에서 발간된 신화 관련 번역서나 저서의 대부분에 이윤기라는 이름이 붙어있다는 사실을 아는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다소 어색한 표현이지만 그는 분명 독보적인 ‘신화 전문가’로 ...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조직을 클릭해 그곳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와 단
백
질, 대사물질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백
과사전처럼 알 수 있다. 농생명공학에 각 유전자원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알아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2010프로젝트의 접근방법은 유전자 기능을 ... ...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수 있도록 스파이크를 박았다. 이렇게 탄생한 매리언 존스의 나이키사 신발 무게는 겨우 1
백
g. 또한 모리스 그린의 깃털 운동화나 마이클 존슨의 황금신발도 기록단축을 위해 무게를 줄인 경우다.축구화로 유명한 독일의 아디다스가 올해 중반 프랑스의 스트라이커 지네딘 지단과 협력해 ... ...
세계의 사장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있었지만 실제로 차량이 다니는 다리로 건설된 것은 1955년 독일의 쉬트름순트교(경간 1
백
83m)가 처음이다.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기에는 적은 수의 케이블로 다리를 들어올렸기 때문에 케이블이 매우 굵어야 했고 이를 설치하기가 무척 어려웠다. 또한 케이블의 설치 간격이 매우 넓었기 때문에 ... ...
물로 가는 꿈의 자동차 실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는 있다.하지만 실용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촉매 제조법을 활용해
백
금의 분산도를 더 높여 그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값싼 다른 금속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에서의 성과가 필요한 실정이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증기만을 배출하는 무공해 차량일 뿐만 아니라 전기를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더 빨리 움직이는 경험을 할 수 있다.허블은 우주론의 새로운 마당을 열었다. 불과 1
백
년 전만 해도 천문학자들은 별의 목록을 만들고, 태양계에 대해 연구했지만 그들의 생각은 대체로 우리은하를 넘어서지 못했다. 허블은 다른 은하들의 존재를 밝혔으며 은하들을 형태에 따라 분류했고 정밀한 ... ...
4. 번개의 신 제우스 동상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평을 들었다.루브르박물관에 신전의 일부 소장제우스 신상 앞에는 파로스에서 운반된
백
색 대리석으로 된 웅덩이가 있는데 그것은 신상에 사용된 상아가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칠하는 기름을 보관하는 곳이다. 반면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에는 기름 대신에 물이 준비됐다. 그것은 파르테논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확인됐고 기울기는 51°52′였다. 2.5t의 돌덩어리가 2
백
30만개나 사용됐으며 무게가 거의 7
백
만t에 달한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던 수학자 몽즈는 대피라미드의 체적이 2
백
60만m3나 되며, 이것만 갖고도 프랑스의 국경을 3m의 높이에 0.3m의 폭으로 둘러 쌀 수 있다고 계산했다.이 모든 돌을 ... ...
소리의 색깔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중 소리의 높낮이는 진동수(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기본음 도의 진동수는 5
백
28Hz이고, 이보다 1옥타브 높은 도는 2배인 1천56Hz이다.사람 귀가 듣는 소리의 크기는 청각의 구조적인 문제와 소리의 세기가 관련돼 있다. 그러나 청각의 구조적인 문제는 너무 복잡해 단순히 소리의 세기만을 ... ...
졸음없이 알레르기 치료하는 약물요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코리아리서치가 서울 지역의 18-49세 남녀 1천9
백
99명을 대상으로 한 알레르기 조사에서 21.4%가 알레르기 환자라고 응답했다.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은 유전성이 강해 부모 중 어느 한쪽이 알레르기일 겨우 그 자녀가 알레르기를 겪을 확률이 약 40%다.이처럼 알레르기는 5명 중 한명이 겪고 있는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