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백신으로 누구부터 구할까?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 결과를 과학적인 근거로 활용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도록 돕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어요. Q. 과거에도 비슷한 연구를 하셨나요? 그럼요, 신종플루가 유행하던 2009년에도 지금처럼 백신을 개발하는 중이었고 물량도 부족했어요. 그래서 백신 접종의 최적화 전략을 계산해서 정책에 도움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안녕하세요, 2021년에도 수학 로그를 통해 인사드리게 된 이승재입니다! 새롭게 한 해가 시작되면서 다들 새해 다짐을 하나쯤 정했을 것 같은데요, 수학자는 어떤 계획을 세 ... 있나요? 수학 관련 다짐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좋은 계획과 함께 새로운 한 해를 힘차게 시작하길 응원합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없고 빛만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죠. 호킹은 21세라는 젊은 나이에 루게릭병을 앓기 시작했습니다. 병세는 점점 더 악화돼 휠체어에서 벗어날 수도, 말을 할 수도 없는 몸이 됐죠. 하지만 호킹은 뺨의 움직임을 추적해 목소리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방식으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하면서 세상과 계속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네. 탐사를 진행하다 보니 인간이 자연을 해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처음 탐사를 시작할 땐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진 곳이 많았어요. 그러다 최근 몇 해 사이에 흙 수로 대신 콘크리트 수로가 많이 생긴 거예요. 경사가 완만한 흙 수로와 달리 경사가 급한 콘크리트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훔쳐 먹고사는 생물을 ‘절취기생동물’이라고 해요. 이번 발견을 통해 기생동물의 시작이 절취기생동물 형태였다는 사실을 알수 있답니다. 에필로그“당신이 살려준 실러캔스는 용왕님의 대선배입니다. 나이가 수억 살이나 많아서 용왕님도큰절을 올려야 하는 분이죠.” 꿀록 탐정이 상황을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그래서 2021년부터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 기사를 준비했어요. 그 첫 화를 지금 시작합니다. 암호처럼 보이는 0과 1, 컴퓨터를 명령한다?! 11101100 10010110 10110100 11101011 10100110 10110000 11101100 10011101 10110100 11101010 10110011 10111100 11 ...
- 출격! 우동수비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평택 은산 어울림생태박물관을 찾았어요. 마스크를 끼는 등 방역 수칙을 지키며 관람을 시작하자 고형철 해설사가 ‘오스트레일리아청개구리’를 소개했어요. 개구리는 벽에 붙자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뱃속에 저장했던 물을 오줌을 싸듯 뺐어요. 은산 어울림생태박물관은 이런 교육프로그램을 ... ...
- 2030 6G GLOBAL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공학자는 이미 이 어려운 과제에 대한 도전을 시작했다. 아직 본격적인 5G 통신조차 시작되지 않은 2021년, 먼 미래의 일처럼 보이는 6세대(6G) 이동통신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2030 6G GLOBALPart1. 6G가 갖춰야 할 성능, 6G를 가능케 할 기술Part2. 6G 글로벌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6G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는 문제다. 새롭게 연구가 시작된 기술인 만큼 아직 모두가 합의한 정의는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수많은 연구그룹과 통신업체가 6G가 갖춰야 할 성능과 이를 가능케 할 기술을 종합적으로 담은 ‘6G 백서’를 발표하며 6G의 모습을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대학과 연계해 440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하는 것이 1차 목표다. 그 시작점이 스마트공장 전환에 최적화된 창원이다. 1970년대에 구축된 중화학공업 산업단지인 창원국가산업단지는 전 세계 제조업 경쟁력 5위인 한국에서도 전국 기계산업 대비 생산의 15%, 수출의 14%를 차지하는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