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미적분학, 통계학, 확률 등도 잘 알고 있어야 하죠. SW 분야의 일은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박재일 대학에서는 수학과 물리학, 기계공학과 관련한 공부를 해서 하드웨어에 익숙했어요. 이후 대학원에 진학해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SW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SW는 해결 방법을 떠올리면 바로 ... ...
- [이달의 우주날씨] 1월 4일 새벽 4시 별똥별이 쏟아진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불리는 유성이 비처럼 쏟아지는 ‘유성우’가 내릴 예정입니다. 유성우는 한 지점에서 시작돼 사방으로 퍼지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지점을 ‘복사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복사점 주변을 봐야 유성우를 잘 볼 수 있어요. 매년 1월 초에는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없고 빛만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죠. 호킹은 21세라는 젊은 나이에 루게릭병을 앓기 시작했습니다. 병세는 점점 더 악화돼 휠체어에서 벗어날 수도, 말을 할 수도 없는 몸이 됐죠. 하지만 호킹은 뺨의 움직임을 추적해 목소리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방식으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하면서 세상과 계속 ... ...
- [이달의 과학사]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우여곡절 끝에 이 제안이 채택되어 도시 중심부 6km 구간에 지하 철도를 만드는 공사가 시작됩니다. 터널을 뚫는 동안 수많은 사고가 일어났지만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선이 개통해요.현재의 지하철과 달리 메트로폴리탄선은 증기기관차가 나무로 된 객차를 끄는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친구들과 나누었지요. 애벌레 오토마타 프로토타입을 6개나 만든 이도희 대원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박물관에 전시된공룡의 계통도에 도전한 박성재 대원, 자율주행 킥보드를 직접 만든 권태용 대원 등 탐험에 푹 빠져서 울고 웃었던 생생한 탐험기를 들려주었어요.박재문 대원은 “탐험은 준비가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갑자기 골치 아픈 문제를 깨달았어요.“이 많은 동전을 언제 다 세고 분류하지?” 그래서 시작된 동전 분류기 만들기 도전! 만들어 보자! 굴리기만 해도 동전을 가리는 기계를 만들자! 섭섭박사님은 동전의 크기가 다른 점을 이용해 동전을 분류해 보기로 했어요. 먼저, 동전을 세워놓으면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말 채택돼 2016년부터 공식 발효된 파리협정이 규정하는 ‘신 기후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해입니다. 파리협정은 지구 대기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시대에 비해 2°C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전세계가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내용을 담은 협정입니다. 지금은 목표를 1.5°C로 상향 조정해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에서 개발한 백신이 해당 국가에서 제한적 승인을 받아 접종을 시작했다. 하지만 임상시험 절차를 제대로 따르지 않았거나,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아 안전성 문제가 제기돼 국제적으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백신 임상시험 결과 살펴보니지난해 12월 8일 ... ...
- 2030 6G GLOBAL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공학자는 이미 이 어려운 과제에 대한 도전을 시작했다. 아직 본격적인 5G 통신조차 시작되지 않은 2021년, 먼 미래의 일처럼 보이는 6세대(6G) 이동통신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2030 6G GLOBALPart1. 6G가 갖춰야 할 성능, 6G를 가능케 할 기술Part2. 6G 글로벌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6G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는 문제다. 새롭게 연구가 시작된 기술인 만큼 아직 모두가 합의한 정의는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수많은 연구그룹과 통신업체가 6G가 갖춰야 할 성능과 이를 가능케 할 기술을 종합적으로 담은 ‘6G 백서’를 발표하며 6G의 모습을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