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학 이야기 기다리겠습니다.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 수학자 의 시작을 환영합니다. 예전에 어른들은 이런 말을 했죠. ‘학교에서 열심히 수학 배웠는데 살면서 쓸 일이 별로 없더라’, ‘그거 없이도 잘 살았다’. 그런데 세상이 바뀌었습니다. 이제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 ...
- [그래프뉴스] 소에게 해초 먹이니 온실가스 82%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21마리의 소를 세 집단으로 나눠 소의 먹이에 넣는 해초의 양을 달리했어요. 실험 시작 후 3주가 지날 때마다 하루에 4번 메탄가스 배출량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해초를 많이 먹은 소의 메탄가스 배출량이 해초를 섭취하지 않은 소에 비해 82% 적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연구팀은 소의 위장 속에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안녕하세요, 2021년에도 수학 로그를 통해 인사드리게 된 이승재입니다! 새롭게 한 해가 시작되면서 다들 새해 다짐을 하나쯤 정했을 것 같은데요, 수학자는 어떤 계획을 세 ... 있나요? 수학 관련 다짐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좋은 계획과 함께 새로운 한 해를 힘차게 시작하길 응원합니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인터넷 등을 통해 풀리지 않은 문제를 찾아볼 수 있어요. 깊게 파고들어 가면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죠. 슬기로운 수학생활 1번 문제도 미해결이에요. 이론적인 연구도 있어요. 집합이나 정수 같은 특정 수학 개념에 대해서 깊게 공부하다 보면 “이런 개념도 필요하지 않을까?”, “이런 관점이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친구들과 나누었지요. 애벌레 오토마타 프로토타입을 6개나 만든 이도희 대원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박물관에 전시된공룡의 계통도에 도전한 박성재 대원, 자율주행 킥보드를 직접 만든 권태용 대원 등 탐험에 푹 빠져서 울고 웃었던 생생한 탐험기를 들려주었어요.박재문 대원은 “탐험은 준비가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갑자기 골치 아픈 문제를 깨달았어요.“이 많은 동전을 언제 다 세고 분류하지?” 그래서 시작된 동전 분류기 만들기 도전! 만들어 보자! 굴리기만 해도 동전을 가리는 기계를 만들자! 섭섭박사님은 동전의 크기가 다른 점을 이용해 동전을 분류해 보기로 했어요. 먼저, 동전을 세워놓으면 ... ...
- 출격! 우동수비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평택 은산 어울림생태박물관을 찾았어요. 마스크를 끼는 등 방역 수칙을 지키며 관람을 시작하자 고형철 해설사가 ‘오스트레일리아청개구리’를 소개했어요. 개구리는 벽에 붙자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뱃속에 저장했던 물을 오줌을 싸듯 뺐어요. 은산 어울림생태박물관은 이런 교육프로그램을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6G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는 문제다. 새롭게 연구가 시작된 기술인 만큼 아직 모두가 합의한 정의는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수많은 연구그룹과 통신업체가 6G가 갖춰야 할 성능과 이를 가능케 할 기술을 종합적으로 담은 ‘6G 백서’를 발표하며 6G의 모습을 ...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천장을 향했고, 미처 떠오르지 않은 가사 대신 허밍을 섞어 부르기 시작했습니다.2절이 시작돼도 그렉 님의 수난은 끝이 나지 않습니다. 마이크스탠드는 폭죽도 터뜨리고 물도 쏘고, 온 무대를 빨빨빨빨 돌아다니기까지 합니다. 폭죽과 물은 그래도 견뎠는데, 마이크를 따라 돌아다니는 건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자신의 진화론에 설득력을 더하기 위해 인간과 동물의 선천적인 감정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인간의 감정표현을 연구하기 위해 아동과 정신 질환 환자, 선천적인 맹인 등 대상을 가리지 않고 관찰했다. 동물원의 동물과 가축, 반려동물 등 자신이 접할 수 있는 동물도 최대한 활용했다.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