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보여주는 것이 전부일까? 미디어 속 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악마의 편집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TV 속 예능이나, 오디션 프로그램 등에서 원래의 상황을 오해하게끔 내보내는 편집 방식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악마의 편집은 TV 속 예능 프로그램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만약 누군가 자신이나 자기 조직에게 불리한 장면 은 삭제하고 자신이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공모전인데, 미세먼지, 항공 운항, 게임 등 다양한 주제의 문제가 출제된다. 이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떨공삼’ 팀은 구장별 차이점과 타구의 성질을 고려해 새로운 배럴 타구 기준을 만들었다. 먼저 타구의 성질이 홈런형인지, 안타형인지 나눴다 ... ...
- [Chapter2] 수학으로 만드는 지략 대결, 축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단위로는 공을 소유한 횟수와 시간, 달리는 속도, 심장 박동 수, 패스 방향, 드리블 방향 등을 기록해 분석한다. 이렇게 기록한 데이터는 대푯값을 계산하거나 통계 그래프로 나타내 한눈에 팀이나 선수의 특성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축구에서 수학과 데이터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를 어떻게 ...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The GOAT 인덱스는 발롱도르를 2번 이상 받은 축구 선수 10명을 추려 경기 기록, 우승 경력 등을 비교해 점수로 알려준다. 그 결과 최고점인 100점을 받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1위에 올랐다. 2위는 호날두의 라이벌로 꼽히는 리오넬 메시로, 94점이고, 3위는 펠레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한 에드송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무관중 경기일 때 심판의 판정이 더 공정했다. 연구팀은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6개국에서 진행하는 10개 프로리그 경기를 분석했다. 코로나19 전인 2010-11시즌부터 2019-20시즌까지 관중과 함께 치러진 3만 6882개 경기와 코로나19로 무관중으로 치러진 1006개 경기를 비교했다. 이들은 심판의 ... ...
- 하스스톤 확률 이용해 카드 내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프로그램이다. 게임의 종류에 맞춰 캐릭터가 가진 돈을 올려주거나 공격력을 높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조작한다. 총 쏘는 게임에서 총탄이 무조건 적중하기도 한다. 이런 게임 핵은 게임의 공정성과 생태계를 훼손하기 때문에 2023년 9월 게임 핵 판매사이트 운영자에게 벌금형의 집행유예가 ...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식별했다. 이후 이들의 종과 집의 종류를 구분했다. 그 결과 인공 껍질은 태평양, 대서양 등 전 세계 바다에서 쓰이고 있었다. 육지 집게 16종 중 10종에서 인공 껍질이 관찰됐고, 특히 플라스틱 껍질은 전체의 84.5%를 차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었다. 금속(5.4%), 유리(5.4%), 금속과 유리 혼합(4.7%)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뇌세포는 전기생리학적 특성상 이온 채널의 수와 기능, 시냅스에서의 신경신호 전달 등이 완전히 성숙해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뇌가 발달하며 보이는 중요한 경향성 중 하나가 바로 뇌세포가 점차 덜 흥분하게 되는 모습이다.도파민이 더 많이, 더 자주 분비된다는 것은 도파민 보상회로의 ...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정한다. 현재 대비 21세기 후반기에 연평균기온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지역은 서울 등 7곳으로 전망됐으며, 이들 지역에서 연평균기온은 약 2.4℃ 증가했다. SSP2-4.5 시나리오 : 기후변화 완화 및 사회경제 발전 정도가 중간단계를 가정한다. 이 시나리오부터 SSP5-8.5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21세기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진 않는 걸까요? 자연 상태에서 성별을 바꾸는 생물에는 산호, 물고기, 굴, 새우 등이 있습니다. 경향성을 눈치채셨을까요. 현재까지 발견된 성별을 바꾸는 종은 대부분 물, 특히나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성전환을 하는 어류 중에서 78%가 바다에서만 서식하고, 15%가 민물에서만 서식한다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