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
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국내에서만 연 4천억원어치가 팔리는 아이스크림. 그 내력과 제품화과정, 우량품의 판별법을 알아보자.어린이 시간대의 TV를 보고 있으면 아이스크림 광고가 그야말로 홍수를 이룬다. 아마도 아이스크림을 가장 많이 먹는 층이 어린이라고 생각해서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어디를 가나 형형색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기원을 더 과학적으로 타당성 있게 설명할 수 있는지 고찰해 볼 수있다.생명체 합성에는
지름길
이 있어야잘 알다시피 생명체의 최소단위는 세포이며, 세포의 기본 구성물질은 단백질과 핵산(DNA와 RNA)등이다. 생명체에 있는 단백질은 20여 종류의 아미노산이 수백개에서 수만개까지 일정한 배열을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화할 수 있고 타인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시야를 넓힐 수 있다. 컴퓨터를 익히는
지름길
은 무엇이든 한 분야에 푹 빠지는 것 뿐이라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자, 통신의 세계로 출발해 보자.동호인협의회 결성을 위해 뛰는 채희선씨 "통신공간을 민주주의 훈련장으로 만들어 갈 겁니다"'우리는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카사블랑카는 현대도시로모로코로 여행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
은 서울-파리, 파리-카사블랑카 간의 항공편을 이용하는 것이다. 프랑스의 오를리공항에서 카사블랑카까지는 3시간 30분 정도 걸리므로 그다지 지루하지 않은 거리다.비행기가 지중해연안을 선회하면서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발휘하고 있긴 하나…과학고-KAIST 학사과정-KAIST 석·박사과정은 일류과학자가 되는
지름길
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현시점에서 내리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아직 세칭 일류과학자중에서 그 3단계를 거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최초의 과학고가 설립된지 이제 8년밖에 지나지 않았고, KAIST학사과정의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않게 중요한 것은 끈기, 즉 집념이다.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집념이 훌륭한 발명의
지름길
인 것이다.독일의 과학자인 에르리히가 발명한 '살바르산 606'은 6백5회를 실패한 끝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매독치료제다. 에르리히는 이 발명으로 1908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했다.고정관념은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실이다. 적어도 주 1회 정도 미역국을 먹는 것이 바로 조상들의 지혜를 계승하는
지름길
이다.광산노동자들의 건강식돼지고기나 돼지비계도 공해방지에 탁효가 있다. 실제로 인쇄소나 광산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다.인쇄소에서는 납을 다루기 때문에 납독(鉛毒)을 입기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방법으로는 장기나 바둑을 들 수 있다. 바둑이나 장기는 패턴 인식력을 단련시키는
지름길
이 된다.공공기관의 게시판등 곳곳에 붙어있는 포스터를 예로 들어보자. 한장에 표시된 그림이 주는 효과는 의외로 많다. 포스터는 도형적 인식을 활용한 것이다. 한장의 평면적인 도형으로 사물 전체를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은하와 다른 은하 사이에서도 이러한
지름길
을 생각할 수 있다.모든
지름길
이 그렇듯이
지름길
이 갈라지는 곳에서는 길이 급하게 꺾어지는 법이다. 즉 벌레구멍은 시공간이 급하게 구부러지는 곳에서 시작된다. 아인슈타인에 따르면 시공간의 구부러짐이 중력과 동등하므로 여기서는 강한 중력이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런 만큼 거기에 알맞는 공부방법을 택하는 것이 고득점의
지름길
이라고 생각한다.현재의 우리나라 수학교육이 많은 비판을 받고 있음은 다 아는 사실이다. 특히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인 이후 그 비판은 더욱 거세어졌다. 논리적 사고의 배양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