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쉬운것 ·잃는것·그늘진것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나타내려는 학문이므로, 실제 현상과 연관시키고 적용시켜 보는 것이 과학과 가까워지는
지름길
이라고 생각된다.물론 고3 때처럼 조급하고 초조할 때 원리와 개념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공부하기란 쉽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오히려 수고를 더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
우주의 사연을 담은 편지 운석(隕石)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어렵다. 따라서 지구의 기원이나 진화 과정을 밝히는데 있어서도 운석의 연구가 가장
지름길
이 된다고 생각되고 있다.그런데 방금 분류된 철운석, 석철운석, 콘드라이트, 에이콘드라이트는 이러한 연구를 하는데 똑 같이 중요한 것일까? 그리고 이들 운석중 가장 시원적인 것은 어느 것일까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론물리학자들은 흥분된 혼돈속을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제5의 힘의 존재를 확인하는
지름길
은 실험. 그 방법은 갈릴레오의 낙체실험을 되풀이하는 것으로부터 거대한 물체 옆에서 중력을 측정하는데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처럼 과학자들이 댐과 절벽, 언덕주위를 바쁘게 돌아다니며 실험한 ... ...
정치가의 과학의식 선진국 진입의 성패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진입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기술이 도입 가능하기에
지름길
을 타고 보다 빠르게 발전시킬 수 있으나 선진 과학문화나 사회의 창조는 기술발전에 비햐여 매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정과 부를 모두 올바르게 인식한 과학의식이 정치가의 의식구조속에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등도 응용 분야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그러나 소프트웨어 공학을 파악하는
지름길
은 소프트웨어 개발절차의 이해로 열리게 된다. 소프트웨어는 시장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개발 아이디어의 탄생부터 완성품으로 생산될 때까지 필연적으로 단계적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소위 ... ...
물질특허도입에 따른 대응책 특허제도의 선진화가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듯하다. 특허행정의 선진화, 이를 기반으로한 자체 기술개발만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지름길
임을 명심하여 이제까지 소홀했던 특허제도육성에 꾸준하고 과감한 투자를 해야할 것이다 ... ...
해를 거듭할수록 풍성해지는 과학의 달 행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3백24명이 4월26일 잠실체육관에서 본선을 치렀다. 부담없이 과학의 진수를 맛보는
지름길
은 과학영화 관람이다. 이에 국립과학관은 4월 한달동안 매일 과학영화를 무료로 상영했다. 또 21일 하룻동안은 과학관의 전시물을 일반에게 무료로 공개하기도 했다. 전국 시·도의 학생과학전시관도 이 날 ... ...
고교생을 위한 과학공부 요령 물리 원리 이해와 문제풀이 힘써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말처럼 문제연습은 피상적인 이해의 헛점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이해에 도달하는
지름길
이다. 누구보다도 많은 문제를 풀어본 사람일수록 '물리적인 체력'이 굳게 다져질 것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렇게 할 때 높은 산봉우리에 서서 발 아래 전개되는 정경을 내려다 보듯이 물리의 봉우리에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큰 발명을 하여 인생을 값지게 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꿈이 능력향상의
지름길
임은 확실하다. 자는 것은 성장하는것! 내일부터는 잘 배우고 잘 자고 꿈을 꾸자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외에, 있는 맨파워(Man Power)를 효율적으로 조직화하는 것이 선진국의 기술력을 따라 잡는
지름길
이라는 것. 그들의 의견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치밀한 분야별 인력수급계획 세워야정부의 장기적 고급 연구인력양성 계획도 좀더 치밀해야 함을 지적한다. '2000년까지 이공계박사 1만 5천명을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