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억시켜 놓았느냐가 그 세탁기의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이 기억저장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
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의 담당연구원들이 발생가능한 모든 경우를 예상하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충분한 실험을 통해 되도록 많은 지식을 마이컴에 전달해주어야 한다. 여기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암치료의
지름길
. 여기에 암세포를 추적해 파괴시키는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최첨단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일반 세균성 질병과 전염병은 완전 퇴치되었거나 또는 쉽게 치료되고 있다. 그러나 암은 아직 대표적인 난치병으로 남아있다.미국의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아무튼 자기 나이에 맞는 수면을 취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
이다. 그러나 자기 나이에 맞게 자지 못한다고 해서 반드시 불면증은 아니다. 사람에 따라 장기수면파와 단기수면파가 있기 때문이다.장기수면파는 잠 뿐만 아니라 꿈도 많으며 평균 9.7시간 꿈나라에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있어요."출제교수의 충고이번에는 출제경험이 있는 과기원 교수들로부터 합격의
지름길
을 들어 보자.작년까지는 과기원 학사과정 교수들만이 출제에 참여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석박사과정 교수들도 합류한다. 이 점이 출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뚜껑이 열려보아야 알겠지만 크게 달라지지는 ... ...
Ⅳ 호르몬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때는 정밀한 임상화학실험을 거친 뒤에 정확하게 투약하는 것이 불의의 약화를 막는
지름길
이다.호르몬치료를 하 때 가장 먼저 유념해야 할 점은 부작용을 피하게 해주는 대책의 수립이다. 동시에 사용량과 사용시기를 정할 때도 정확한 임상화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삼아야 한다. 호르몬의 부족이 ... ...
마음의 병이 육체의 병으로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매달리는 청소년이 많다. 흔히 '먹으면서 스트레스를 푼다'고 하는데 이는 비만으로 가는
지름길
이다.정신적인 충격을 받은 뒤, 갑작스럽게 강박적으로 먹는 일에 매달려 체중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이를 '반응성 비만증'이라고 부른다.비만증은 아주 어린 나이에서도 생길 수 있다. 부모들이 ... ...
90년대의 암치료 드러난 허점부터 보강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다.또 암조직 특이항원을 찾는 것도 암정복의
지름길
이다. 암조직 특이항원을 발견하기만 하면 그 항원에 대한 모노클로날항체(단클론항체, monoclonal antibody)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단클론항체 자체 또는 그 항체에 각종 항암제를 결합시켜서 암환자의 ... ...
오른쪽 뇌 훈련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또는 장면이 현실로 바뀐 바로 그 순간 공을 치게 된다는 것이다.심상화를 위한 특별한
지름길
은 없다. 어떤 사람들은 마음의 그림이 컬러 그림이나 영화 같이 눈으로 보는 것과 똑같이 되기를 기대하지만 그럴수록 심상화는 어려움을 갖는다. 심상화 방법은 수백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눈을 ... ...
공부하는 방법이 문제예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사실 끊임없이 쓰고 외우고 반복하는 게 비결이라면 비결이죠.윤 - 사실 학습요령에
지름길
이 있을 턱이 없어요. 저는 문제를 많이 풀어본 게 주효했던 것 같아요. 시험끝난 뒤에 그동안 구입해 푼 문제집을 쌓아보니 50cm는 족히 되었어요.하 - 각 과목별로 형이 어떻게 공부했나도 궁금한데요윤 -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과학교사가 과학출판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보다 양질의 필자가 확보될 수 있는
지름길
임을 어느 누구도 부인하지도 않는다.제목의 대중성, 퀴즈형석도 도입 등 편집의 다양화, 전문가들의 번역 참여, 전문기획 팀의 등장, 과학교사들의 필진 참여 등 과학출판계에 불고 있는 있는 새바람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