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독성 화학물질 배출 걱정 無, 안전한 화학공정 개발
2016.03.03
나노선을 이용한 특수 분리기를 도입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머리카락의 약 1000분의 1
굵기
의 나노선으로 이뤄진 이 분리기는 기체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손쉽게 기체와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된 공정을 2차 전지용 멤브레인 제작에 적용했다. 그 결과 휘발성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징그럽게 생겼다고요? 곤충이 90억 인류의 미래”
동아일보
l
2016.02.27
갈색거저리 애벌레)’이 가득했다. 그리고 왼쪽 통은 모양은 밀웜과 같지만 크기와
굵기
가 새우깡만큼 커다란 아메리카왕거저리 애벌레로 꽉 차 있었다. 처음에는 통 안에 손을 넣기도 꺼려졌다. 이 고문은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으로 마른안주를 꺼내듯 네댓 마리씩 꺼내 플라스틱 쟁반 위에 ... ...
해양조사원, 한반도 해류모식도 발표
동아일보
l
2015.12.24
23일 해양수산부 해양조사원이 발표한 한반도 해류 흐름을 도식화한 해류모식도. 선
굵기
에 따라 해류 세기가 비례하고, 변동폭이 작은 해류는 점선으로 표시했다. 정부는 앞으로 이 해류도를 교과서에 실어 그동안 사용하던 1930년대 일본에서 만든 해류도를 대체할 방침이다. 해양수산부 제공 ... ...
g당 200원, 초저가 촉매 나온다
2015.12.14
분쇄된 철과 질소의 분자도 그래핀 기판 표면에 도포된다. 연구팀은 이 복합체를 이용해
굵기
가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단위인 섬유 형태의 촉매를 만들었다. 이 촉매는 표면적이 넓어 산소 환원 능력이 뛰어났다. 산성 환경에서 성능이 감소하는 백금 촉매와 달리 산성에서도 ... ...
꽃잎 위에도, 거품 위에도…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Gold’
2015.11.30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우유에 들어있는 단백질을 끓여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굵기
의 선으로 이뤄진 틀을 만들었다. 이 틀에 금 용액을 넣자 용액이 틀에 엉겨 붙으면서 젤 같이 물렁한 덩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과 단백질이 뭉친 덩어리를 꺼낸 뒤에는 이산화탄소로 조심스레 ... ...
스티로폼보다 100배 더 가볍다…깃털 같은 금속 개발됐다
2015.10.13
가느다란 금속 튜브를 뜨개질 하듯 떠 붙여 이 금속을 개발했다. 튜브의
굵기
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이고 내부의 99.99%는 공기로 돼 있다. 강도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연구진 측은 “세상에서 가장 강한 금속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보잉 측은 이 소재를 항공기 내부의 각종 실내부품 등을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범인일 가능성이 높거든요. 하지만 용의자 세 명이 갖고 있는 펜은 모두 검은색이고
굵기
도 같았어요. 일일 과학수사관은 세 개의 펜을 수거해 흰 종이에 차례로 점을 찍었어요. 그리고 종이 끝부분만 살짝 물에 담근 뒤, 서서히 종이를 적셨지요. 10분 정도 지나자 점 모양이던 검은색 잉크가 물을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
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김근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과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어려웠던 실 모양의 3차원 기판에 유기물 층을 형성해 빛이 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굵기
역시 최소 수십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가늘게 뽑아낼 수 있다. 옷감을 짜는 일반 실보다 훨씬 가늘게 만들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최 교수는 “직물의 구성 ... ...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간격 금속센서 개발
2015.08.03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과학자들이 주도한 국제 연구팀이 금속 나노입자를 머리카락
굵기
의 10만 분의 1 간격으로 배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초미세간격으로 배열한 금속 입자들은 태양전지, 광센서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강태욱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