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굵기"(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
- 꽃잎 위에도, 거품 위에도…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Gold’ 2015.11.30
-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우유에 들어있는 단백질을 끓여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굵기의 선으로 이뤄진 틀을 만들었다. 이 틀에 금 용액을 넣자 용액이 틀에 엉겨 붙으면서 젤 같이 물렁한 덩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과 단백질이 뭉친 덩어리를 꺼낸 뒤에는 이산화탄소로 조심스레 ... ...
-
- 스티로폼보다 100배 더 가볍다…깃털 같은 금속 개발됐다2015.10.13
- 가느다란 금속 튜브를 뜨개질 하듯 떠 붙여 이 금속을 개발했다. 튜브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이고 내부의 99.99%는 공기로 돼 있다. 강도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연구진 측은 “세상에서 가장 강한 금속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보잉 측은 이 소재를 항공기 내부의 각종 실내부품 등을 ... ...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08.14
- 범인일 가능성이 높거든요. 하지만 용의자 세 명이 갖고 있는 펜은 모두 검은색이고 굵기도 같았어요. 일일 과학수사관은 세 개의 펜을 수거해 흰 종이에 차례로 점을 찍었어요. 그리고 종이 끝부분만 살짝 물에 담근 뒤, 서서히 종이를 적셨지요. 10분 정도 지나자 점 모양이던 검은색 잉크가 물을 ... ...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2015.08.14
-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김근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과 ... ...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2015.08.05
- 어려웠던 실 모양의 3차원 기판에 유기물 층을 형성해 빛이 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굵기 역시 최소 수십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가늘게 뽑아낼 수 있다. 옷감을 짜는 일반 실보다 훨씬 가늘게 만들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최 교수는 “직물의 구성 ... ...
-
-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간격 금속센서 개발2015.08.03
-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과학자들이 주도한 국제 연구팀이 금속 나노입자를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간격으로 배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초미세간격으로 배열한 금속 입자들은 태양전지, 광센서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강태욱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과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 ...
-
-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수학동아 l2015.07.03
- 두 갈래가 같은 굵기일 경우, 원래 줄기와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다고 설명했다. 만약 굵기가 다르다면, 가느다란 쪽이 더 큰 각도로 휜다. 원래 가지에서 아주 가느다란 줄기가 튀어나올 때는 약 70~90°로 휜다. 루는 물질을 효율적으로 흘려보내려면 에너지를 최소로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 ...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2015.06.17
- 섬유형 가스센서는 세탁을 하거나 1000번을 구부려도 성능이 유지되며, 센서의 굵기를 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부터 밀리미터(㎜)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전력 소모도 거의 없다. 이 센서를 정수기 필터로 제작할 경우 수질 경보, 소방대원의 화재진압 작업복 등에 적용해 위험상황 ...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제공 보통 세포를 물이 들어 있는 풍선에 비유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나노미터 굵기의 바늘로 콕 찔러도 퍽 하고 터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원핵생물은 단단한 세포벽을 만들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진핵세포는 세포벽이 없지만 대신 세포내부에 액틴 같은 필라멘트 단백질로 이뤄진 ... ...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2015.03.25
- 지문과 연구진이 지문을 모사해서 만든 인공 미세지문(오른쪽 위). 연구진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지름으로 여권 식별자용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사람 지문처럼 복제가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어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권성훈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