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종 로봇 이용한 뇌수술 현장… 4mm 로봇팔로 종양 제거 척척
2014.11.02
미세수술로봇을 콧속으로 집어넣어 시상하부 인간 종양제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김선호 연세대 의과대 신경외과 교수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 것”이라며 “콧구멍의 크기와 수술이 진행되는 체내 환경을 고려해 앞으로 앞으로 로봇팔의
굵기
를 2mm까지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광학현미경으로 본 영상(위)과 새롭게 나노이미징 기술을 적용한 영상(아래). 글자 획의
굵기
가 수십 nm도 채 안 되지만 NANO라는 글자를 또렷하게 볼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10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또렷히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것은 아니지만 정밀도가 떨어져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탐침은
굵기
가 0.1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하지만 감도는 기존의 1000배 이상 뛰어나다. 이 탐침을 이용하면 뇌 표면에서 1mm 이하의 극히 정밀한 간격으로 뇌신경 신호 측정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
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최 센터장은 “광섬유로 이뤄진 내시경과 원리가 비슷하다”면서 “이 렌즈로 나노현미경을 만들면 살아있는 세포나 분자를 맨눈으로 손쉽게 관찰할 수 있을 ... ...
2m 거대 말벌이 서울을 점령했다?!
과학동아
l
2014.05.11
고찰한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덩치가 더 커질수록 지탱하는 기관(예를 들어 다리)의
굵기
는 더 큰 비율로 굵어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가느다란 다리로 빠르게 뛰어다니는 톰슨가젤이 코끼리만한 덩치가 될 경우 다리 역시 코끼리 다리만큼 굵어져야 한다는 예를 든다. 같은 원리로 ... ...
‘그래핀 나노리본’이 뚝딱?
과학동아
l
2014.04.27
만들고 그 위에 나노선을 놓은 뒤 필요 없는 부분을 산소 플라스마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굵기
가 9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인 그래핀 나노리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공정은 간단하면서도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 10cm 크기의 실리콘 기판 위에 그래핀 나노리본 144개를 정렬해 ... ...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진은 ‘주사기’에 고분자 용액을 담고 180nm
굵기
의 주사기 바늘로 내보내면서 고전압을 걸어줬더니 ‘나노 실’이 일정하게 분사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때 주사기를 수평으로 움직이자 나노 실을 길게 뽑을 수 있었는데, 좌우로 왕복하면서 실을 한 ... ...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02.20
웬만한 남자 선수들만큼 굵고 탄탄하다. 송주호 박사는 “스피드스케이팅 역사상 허벅지
굵기
가 23인치에 달한 여자 선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100분의 1초를 다투는 단거리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이렇게 강한 하체는 필수다. 이런 허벅지는 남자 선수들과 똑같은 ‘지옥 훈련’ 덕분에 ... ...
세포분열 제어해, 치매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1
미세소관은 가로 4나노미터, 세로 5나노미터, 폭이 8나노미터인 단백질들이 25나노미터
굵기
의 튜브 형태로 모여 있는 구조다. 또 연구팀은 구조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분자스위치’도 발견했으며, 이 분자스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절해 지금까지 알려진 바 없는 새로운 크기와 형태의 ... ...
장시간 봐도 눈부심 없는 컬러 전자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1m)의 아주 작은 ‘폴리스틸렌’이란 물질을 물 속에 녹인 다음, 이 액체를 머리카락
굵기
(약 100나노미터) 수준의 고무 캡슐로 만들었다. 이 캡슐을 소금물에 넣자 농도에 따라 형태가 변하면서 빛의 반사율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신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