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산화아연을 가공할 때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질의 농도를 이용하면 길이와
굵기
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는 반응물질에서 재료를 얻어 성장한다. 반응물질의 농도가 부족하면 여러 개의 나노막대가 경쟁적으로 물질을 빼앗기 때문에 길이가 서로 ... ...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
2015.02.24
‘반도체성 금속산화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
보다 작은 금속을 가열해 기체 흐름을 조절하면 스마트폰 등에 내장해도 표가 나지 않을 만큼 작은 초소형 가스측정 센서를 만들 수 있다. 여러 종류의 금속산화물를 나란히 배열하면 다양한 기체를 정밀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가능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핵심 재료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
의 모세관으로 제작한 유체소자를 이용해 기름과 물, 액정의 이중구조를 만들고 자외선을 쏘여 캡슐을 만들었다. 가운데 액정을 물로 둘러싼 구조다. 이렇게 만들어진 캡슐은 액체처럼 유연하면서도 공기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바이오닉스연구단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KAIST 공동 연구진은 지름 4mm
굵기
의 가느다란 내시경과 수술용 집게가 달린 미세수술용 로봇을 처음 개발해 카데바(해부용 시체)를 대상으로 시연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수술 로봇을 이용하면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 뇌종양 수술을 할 수 있다.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거의 모든 표면에 인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팔만대장경에 새겨진 글자의 획
굵기
를 10nm로 대폭 줄인 셈이다. 그동안 나노 인쇄기술은 주형을 이용해 나노 구조물을 찍어내고, 찍어낸 나노 구조물을 실리콘 등 원하는 표면에 옮기는 식이었다. 하지만 나노 구조물의 폭이 수백 nm 이하로 ... ...
日 인공지능 로봇 모의시험 결과가…도쿄대 합격할까?
동아일보
l
2014.11.03
“아베 까불지마라” - [화보]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굵기
4㎜ 로봇팔로 두개골 절개 않고 뇌종양 제거 성공 - 3D 프린터로 ‘스타워즈’ 로봇 손 현실화…“믿기지 않는다” - 영화 ‘아이언맨’처럼… 국산 ‘군사용 입는 로봇’ 직접 착용해보니 - 삼성重, 수중 ... ...
토종 로봇 이용한 뇌수술 현장… 4mm 로봇팔로 종양 제거 척척
2014.11.02
미세수술로봇을 콧속으로 집어넣어 시상하부 인간 종양제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김선호 연세대 의과대 신경외과 교수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 것”이라며 “콧구멍의 크기와 수술이 진행되는 체내 환경을 고려해 앞으로 앞으로 로봇팔의
굵기
를 2mm까지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광학현미경으로 본 영상(위)과 새롭게 나노이미징 기술을 적용한 영상(아래). 글자 획의
굵기
가 수십 nm도 채 안 되지만 NANO라는 글자를 또렷하게 볼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10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또렷히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것은 아니지만 정밀도가 떨어져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탐침은
굵기
가 0.1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하지만 감도는 기존의 1000배 이상 뛰어나다. 이 탐침을 이용하면 뇌 표면에서 1mm 이하의 극히 정밀한 간격으로 뇌신경 신호 측정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
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최 센터장은 “광섬유로 이뤄진 내시경과 원리가 비슷하다”면서 “이 렌즈로 나노현미경을 만들면 살아있는 세포나 분자를 맨눈으로 손쉽게 관찰할 수 있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