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적용해 환자를 여러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뇌 데이터를 분석했다.
부피
엔트로피란
부피
가 얼마나 무질서하게 커지는지 측정할 수 있는 수치를 말한다. 대한수학회 논문상은 순수 동역학 연구로만 받았다. 동역학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모든 것을 계산하고 설명하는 수학 분야. 당구 게임에서 ... ...
"설계도로만 존재하던 '혁신 원자로' 현실화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평가받는다. 물보다 끓는점이 높은 냉각재를 사용하면 압력을 높일 필요가 없어
부피
팽창으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국내에서도 SFR과 VHTR에 대한 요소 기술은 개발돼 있는 상황이다. VHTR의 경우 설계도까지 만들어져 있다. 주 원장은 타국에서 이미 가동하고 있거나 가동한 적 있는 VHTR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당분 등 용질의 농도가 높아 어는점 내림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물은 특이하게도 얼면
부피
가 늘어나 생명체에게는 치명적이다. 용매에 용질이 섞여 있을 때 어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은 엔트로피로 설명된다. 계의 무질서도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는 얘기다. 용매와 용질이 섞인 상태는 ... ...
화재위험 낮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구기거나 자르는 등 극한의 변형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또 1mm 이하 두께로도 제작돼
부피
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연구성과는 2020년 정부출연연구기관 10대 우수연구성과와 지난해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기술이전을 받는 솔리드앤이에스는 KBSI의 ...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핵연료, 폴란드 수출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재료를 일일이 파쇄하는 기존 방식보다 불순물이 적게 발생해 1cc당 5.3gU(그램우라늄·단위
부피
(cc) 당 우라늄의 양) 이상의 고밀도로 핵연료판을 제조할 수 있다. 현재 고밀도 저농축 우라늄실리사이드 판형핵연료 제조국은 프랑스, 미국, 한국뿐이다. 원자력연은 2018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지난해 ... ...
디지털 홍수 속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카메라 입덕가이드
과학동아
l
2022.11.26
부피
와 질량 단위가 달라서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습니다. “가루약 같은 경우 물과 달리
부피
와 질량의 단위가 다른데요, 처음에 이를 1대1 개념으로 두고 보다가 실수를 한 적도 있죠.” 사진(슬라이드필름)을 현상해서 풍경사진을 볼 때는 마치 소인국에 온 것 같아요. 과학동아 DB 기다리고, ... ...
초음파로 뇌 자극해 수면과 단기 기억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등의 질환이 저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로 호전된 사례가 있다. 다만 초음파 자극 장치의
부피
가 커 생쥐처럼 작은 동물에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장기간으로 초음파 자극을 주면서 생체 내 반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었다. 그간 소형 동물에서 초음파 자극 실험은 짧게 자극한 뒤 즉각적인 ... ...
"폐암‧갑상선암‧대장암 등 근거없는 과잉 건강검진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사례도 있다. 명승권 원장은 “이탈리아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수진자 25.8%는 폐결절
부피
가 2배로 커지는 기간이 400일 이상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폐암 진단을 받았다”며 “증상이 문제가 되는 수준까지 진행되지 않았음에도 과잉진단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암 진행속도 더딘 ... ...
'또다른 카카오사태' 언제 터질지 모르는데 모호한 기술대책 내놓은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9
많이 쓰이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폭발과 화재 위험에서 자유롭고 같은
부피
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저장 용량과 출력을 개선하는 데 더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성능 비불소계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환원제의 일종으로 유무기 합성이 필요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같은
부피
의 불소계 전해질을 제작하는 것에 비해 5~10% 정도의 비용만이 소요돼 큰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이렇게 개발된 수소화붕소 소듐 기발 전해질은 우수한 고체-전해질 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