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1g 소재만 써도 2cm 두께 벽돌 부수는 구동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하이드로겔이 무려 130kg의 무게를 들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젤 기반 액추에이터보다 단위
부피
또는 단위 무게당 출력을 뜻하는 출력 밀도가 10만 배 가량 큰 수치다. 외부 동력원으로 전기장까지 활용하면, 기존 삼투 현상에 전기 삼투 현상까지 더해져 더 빠른 속도로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 ...
[탄소중립 연속기고]이산화탄소 증가, 바다도 몸살 앓는다
2022.04.10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해수면 상승은 주로 해수의 열팽창과 내륙빙하가 녹으면서
부피
가 늘어난 결과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해수면 상승 속도는 지역적으로 다르지만 1800년대 중반 이후 대기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와 동시에 급격히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 유엔 ... ...
통가 대규모 화산 폭발 원인은 바닷물 급격한 기화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돼 번개를 일으키는 정전기 유도 현상을 유발했다고 추정했다. 이날 분출된 물질은
부피
약 1.9㎦, 무게 29억t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분출 양은 많지 않았지만 분출 당시 에너지가 대기와 바다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봤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에너지로 인해 발생한 쓰나미가 어떻게 ... ...
국내 연구진 장수풍뎅이 모방해 반응속도 1만배 빠른 광학 습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파장만 투과되고, 그 외 파장들은 반사되는데, 이 특정 파장이 키토산 하이드로겔의
부피
에 달라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센서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물질을 탐색하다가 남미에 서식하는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에서 힌트를 얻었다. 이 장수풍뎅이는 습도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데 껍질 ... ...
잠수부 체온조절 돕고 생체신호 감지하는 전자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8
꾸준히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 다만 현재 수중 전자기기의 전력 공급은 주로 단단하고
부피
가 큰 배터리 형태에 의존하고 있다. 이로써 실질적인 수중에서의 신체 활동 혹은 수중 해군 작전을 지원할 경우 기술적 어려움이 따랐다. 연구팀은 수중에서의 체온과 수온 간의 열 차이가 크다는 것을 ... ...
뿌리는 코로나 방역 소독제 염화벤잘코늄, 용량 안지키면 폐 질환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1
높아질수록 세포독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벤잘코늄이 노출된 세포는 리소좀
부피
와 일산화질소 생성, 지질 과산화가 증가한 반면 세포 반응산소 농도는 감소했다. 미토콘드리아 구조니 기능도 손상됐다. 면역반응과 DNA 손상, 아미노산 합성 분자의 발현 수준에도 영향을 미쳤다. ... ...
첨단 방열소재 만난 전통온돌 '더 따끈'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같은 탄소 소재는 열전달 능력이 금속의 10배 이상으로 뛰어나지만 값이 비싸다 보니
부피
가 큰 건축자재로 쓰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값싼 흑연에 소량의 그래핀을 섞은 방열소재 물질을 소량 첨가하고 소재의 배열을 조절해 열 전달률을 늘리는 방식을 활용했다. 소재를 길쭉한 막대 형태로 ... ...
KIST "신축성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옷 표면에 인쇄 성공"
연합뉴스
l
2022.02.10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배터리는 단단한 무기물 형태의 전극 소재가
부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신축성 있게 만들기가 어렵고 형태를 변형하면 액체 형태의 전해질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유기젤 소재를 바인더(전극 소재를 복합체 형태로 제작할 때 같이 넣는 고분자 ... ...
[주말N수학] 우주의 정보량을 알아내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01.08
추정했습니다. 그 다음 우주의 전체 입자수를 구했습니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부피
를 알려진 우주의 밀도로 나눠서 우주의 모든 입자의 질량을 구하고, 이미 알려진 입자의 평균 질량으로 나눴습니다. 이렇게 구한 우주의 전체 입자 수는 4×10의 80제곱 개입니다. 마지막으로 입자 1개당 ... ...
사용후핵연료 처리 '파이로프로세싱' 연구 재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소각해 사용후핵연료의
부피
와 독성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부피
를 이론상 20분의 1로 줄이고 SFR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 2018년 당시 국회 의견에 따라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R&D의 기술성 등을 재검토하기 위한 재검토위원회가 꾸려졌다. 그 결과 재검토위는 2020년까지 R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