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식 가스센서 실용화 앞당길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습한 환경에서 감도가 낮아진다. 별도의 습기 제거 장치를 달아야 하는데 이 경우 센서
부피
가 커지고 가격도 높아진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거미줄 구조를 갖는 주석산화물 나노와이어 사이에 2차원(2D) 형태의 칼슘실리케이트를 성장시켰다. 주석 산화물은 전기 전도도가 크고 융점이 ... ...
[주말N수학] 3D애니메이션으로 수학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08.20
후대 학자들은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기둥과 밑면의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뿔의
부피
비는 3 : 1임을 발견했지요. 이 사실을 이용해 양팔 저울 실험을 해 봅시다. 우선 저울의 한 쪽 팔에 높이와 반지름이 r인 원기둥을 놓아요. 다른 쪽 팔엔 높이와 반지름이 r인 원뿔과 반지름이 r인 반구를 ... ...
인공 신경으로 척수 손상된 쥐 다리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구조와 기능을 모사하는 신축성 저전력 유기 나노선 인공 신경을 이용해 복잡하고
부피
가 큰 외부 컴퓨터 없이도 인공 신경만으로 쥐의 다리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신축성 인공 신경은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고유수용기를 모사한 인장 센서, 생체 시냅스를 모사하는 유기 인공 ... ...
[과기원은 지금] 안구건조증 진단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적용한 메타 광섬유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의료용으로 쓰이는 카테터의
부피
를 크게 줄여 환자들의 불편감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9일 공개됐다. ■임한권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열분해유 ... ...
폴더블 스마트폰, 주름없이 오래 쓰는 광학필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수준의 물성을 갖는 새로운 불소계 폴리이미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폴리이미드에
부피
가 큰 탄화불소를 도입해 CTC로 인해 강력하게 결합된 폴리이미드 사슬 간 거리를 늘리는 방식으로 광 특성을 확보했다. 또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이미드 사슬 간 수소 결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1%를 함유한 샴푸를 쓴 사람들은 대조군에 비해 탈모가 줄고 모발 성장이 빨라 모발
부피
가 늘어나고 모낭이 성장기인 모발의 비율이 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샌들우드 향으로 탈모를 예방하는 샴푸가 나올 날도 머지 않았다. ○ 공포의 냄새 실제 존재 공포와 즐거움, 중성 상태일 때인 ... ...
8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황덕철 PL·이병돈 연구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고용량 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높임으로써 배터리의 무게와
부피
를 줄일 수 있는 양극재다.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을 높여주지만,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배터리의 안전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황 PL은 2020년 니켈함량을 88%로 높인 양극재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지금 보는 우주는 빙산 일각, 차세대 망원경들 놀라운 성과 낼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중력이 너무 큰 나머지 무한히 작은 물체로 붕괴한다. 때문에 블랙홀의 질량을 블랙홀의
부피
로 나누면 무한대가 된다. 물리학에서는 무한대라는 값이 나오면 이를 특이점이라고 하는데 이는 물리학으로 현상이나 물질을 설명하기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력질량과 관성진량이 동등하다는 ... ...
[프리미엄 리포트]차세대 우주망원경의 과제는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22.07.16
표면장력은 유체의 표면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구형은 같은
부피
에서 가장 작은 표면적을 갖는 만큼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매끄러운 표면의 렌즈를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모란 베르코비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교수는 “자연에서 일어나는 물리 현상은 복잡한 과정을 ... ...
[지구는 살아있다] 성류굴 호수 속 석순은 기후변화의 증거
2022.07.16
빙하기가 되면 남북극 빙하의 크기가 커집니다. 빙하로 물이 언 만큼 바닷물의
부피
는 줄어듭니다. 그 결과, 빙하기의 해수면은 지금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빙하가 가장 많이 커진 빙하기에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약 130m나 낮아졌다고 알려졌습니다. 성류굴 호수 속 석순은 동굴 속에 호수가 없었던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