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를 기억하는 능력, 수직선에 달렸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연수를 시작으로 수의 범위를 확대하며 정수와 유리수까지 수와 수 사이를 또 다시
일정
하게 채워 수를 표현하는 연습을 합니다. 심리과학협회 저널에 따르면 아이들이 수직선을 이용해서 수의 범위와 변화를 배우면 숫자를 더 잘 기억하게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미국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지금 사용하는 함수의 개념이 도입됐습니다.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일정
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는 물체가 움직인 거리와 그 거리까지 움직이는 데 걸린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와 같이 자연 현상에 따라 변하는 값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관찰된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는지를 기억하고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대로 작동한다. 냉장고에는 내부 온도를
일정
하게 유지해 주는 온도조절 장치가 있다. 세탁기도 비슷하다. 이처럼 거의 대부분의 전자제품에는 작은 컴퓨터가 있다.한참을 생각하던 지성이는 아무래도 불안하다는 생각에 전자제품 작동이나 근처에 가는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정
이다. 비 한 방울 내리지 않은 불볕더위. 걸음걸이조차 온전하지 않은 그는 고된
일정
에 발톱까지 빠지면서도 650km를 완주했다. 김 씨는 자신감이 붙자 홀로 일본에 5박 6일간 배낭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돈은 차비 정도만 가져갔습니다. 거의 무전여행이었어요. 빵과 우유로 끼니를 채우고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하필 짝짓기 행동을 연구하는 걸까. 김 교수는 “뇌 회로를 정확히 그리려면 자극에 대해
일정
한 반응을 보여주는 행동이 필요한데 암컷 초파리의 짝짓기 행동이 딱 들어맞는다”며 “초상화를 그릴 때 움직이지 않는 모델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수컷은 종종 다른 수컷을 따라다니거나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성분에 모두 친한 성질이 있는 유화제를 실험에 사용했다. 유화제를 이루는 입자들은
일정
농도가 지나면 달걀껍질처럼 구형의 틀만 남기고 속이 빠져나간다. 이 껍질 속에 단량체를 넣고 중합시키면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를 만들 수 있다. 결국 장 교수와 오준학 연구원은 연구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나는 전하량이다.)기전력건전지나 발전기는 전류가 흐르더라도 두 단자의 전위차를
일정
하게 유지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것을 기전력(є)이라 한다. 기전력의 크기는 전위차의 정도를 말하며, 단위는 볼트(V)를 사용한다. 어떤 기전력장치가 전하량 Q에 전기에너지 W를 공급하고 있다면 이 기전력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타난다. 학생들은 체벌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과 같은 요령을 배운다. 체벌의 기준이
일정
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게 아니라교사에 따라 체벌의 유무나 정도가 들쭉날쭉하기 때문에학생도 교사의 성격에 맞춰 행동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배운다기보다는 학교에서 살아남는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르는 것을 증명했다. 빌라니 교수는 란다우 교수가 버렸던 계산식을 그대로 살린 채
일정
한 공간에 있는 음이온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를 적분해 평형 상태에 이른다는 사실을 보였다. 완벽한 증명은 아니지만 란다우의 계산보다 한 걸음 더 나간 것이다.스미르노프 교수는 삼각격자 위에서 ... ...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그 증가율 또한 계속 커진다(∵밀도가 증가). 반면 중력가속도의 크기가 2900km까지는
일정
하다가 그 이후로 계속 줄어든다. 즉 지구 내부에서 측정한 압력의 크기는 구텐베르크면까지는 점점 가파르게 증가하다가(∵밀도), 그 이 후로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중력가속도) S자 커브를 보인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