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장애물을 인식하는 데 쓸 수 있지만 얼굴 인식 기술과 마찬가지로 야외에서는 조명이
일정
하지 않아 판별력이 떨어진다. 실제 자율주행에서는 이런 기술을 함께 이용한다.그러나 로봇이 전장에서 홀로 움직이며 싸우지는 않을 전망이다. 손웅희 생기원 부장은 “병사들도 전투, 통신, 보급, 의무 등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78° 해역까지만 갔다.수석연구원은 “지난해의 해빙 자료와 올해의 위성사진을 바탕으로
일정
을 짰는데 북극해의 얼음이 예상보다 2주 정도 늦게 녹았다”며 “이 원인을 밝히면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라온호의 목표 중에는 해빙이 있는 해역에서 사는 미세조류를 채취하고 분석하는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한다. EMP폭탄(전자폭탄)이 한 예다. EMP폭탄은 순간적으로 강력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일정
범위 안에 있는 전자회로를 망가뜨린다. 전자회로가 망가진 로봇은 한순간에 고철덩어리가 된다. EMP폭탄은 로봇뿐 아니라 전자회로를 사용한 모든 무기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개발할 수만 있다면 매우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수분이 충분히 공급돼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죠.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경우는
일정
시간 낮은 온도에 노출된 뒤라야 발아하는 씨앗이 많습니다. 가을에 씨앗이 바로 발아할 경우 식물체가 겨울에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을 난 뒤에 싹을 틔우기 위한 전략인 셈이죠. 이런 현상이 씨앗의 ... ...
카메라에 담긴 수학, 영화사진작가에게 듣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조절하는데 조리개가 열린 정도가 조리개값이에요. “카메라마다 렌즈의 초점거리가
일정
하므로 빛이 들어오는 조리개 구멍의 지름을 조절하면 조리개 값이 커지고 작아져요. 맑은 날에는 빛이 들어오는 양을 줄여야 하니까 조리개값을 크게 하고 흐린 날에는 작게 해요.”작가님의 이야기를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중에는 곡선 모양이 직선 모양보다 더 스릴이 있다. 직선은 각 점에서 순간속력이
일정
하지만 곡선은 순간속력이 각 지점에서 달라지기 때문이다.또 사이클로이드 곡선은 두 지점 사이를 가장 빨리 움직일 수 있는 곡선이다. 두 점을 잇는 직선 위를 지날 때보다 더 빠르다. 곡선은 직선보다 길이가 ... ...
자료 정리의 달인,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위해 자료를 수집해야 합니다. 여행지를 정한 뒤에는 가지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
을 짜고 경비를 예상합니다. 이렇듯 다양한 자료 속에서 나에게 유용한 정보를 찾고 만들어 내는 일을 하려면 통계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자료를 표나 그래프로 보기 쉽게 정리하고, 이 속에서 규칙성이나 변화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당하는 절대 와도의 크기도 작아져야 한다. 위도의 변화는 없으므로 행성 와도는
일정
하다. 상대 와도의 크기가 작아져서 음의 상대 와도로 바뀌면 시계 방향으로 돌아서 다시 등고선의 고도가 높은 곳으로 바람이 분다. 4) 상공에 부는 편서풍이 높은 산맥을 지나면, 공기 기둥이 연직 방향으로 ... ...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백과사전에서 통계는 일반적으로 어떤 현상을 종합적으로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일정
한 체계에 따라 숫자로 나타낸 거래. 사회와 자연 현상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널리 사용된다는 거지.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신문에서 통계가 어떻게 쓰이는지 찾아봤어. 그랬더니 대부분의 내용에 통계가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내며 뛰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더 신기한 것은 그 뒤로 다시 한 걸음의 거리가
일정
해졌다는 거예요. 시속 40㎞ 정도를 유지하며 계속 달렸다는 거죠"김보성 (목포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흔적 1 흔적 2발자국이 찍힌 모양을 보세요. A구간에 비해 B구간의 보행렬은 일직선에 가깝지요?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