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받아볼 수 있어 가능했습니다. 지사탐 앱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기에, 본받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보낸 거였죠. 안녕하세요, 탐정님. 저는 이 동화마을에 10명 정도 되는 임금 중 한 명입니다. 창피한 얘기지만…, 사람들은 저를 흔히 ‘벌거벗은 임금님’이라고들 부르지요. 제가 멋진 옷을 좋아하다 보니 최고로 멋진 옷을 만들 디자이너를 공모한 적이 있는데, 그때 어떤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몬드리안에게는 형형색색 어지럽게 느껴졌던 겁니다.이런 일화가 지금까지 전해질 정도로 몬드리안은 간결하고 정돈된 형태를 좋아했습니다. 실제로 몬드리안의 그림을 시간에 따라 살펴보면 빛과 색에 대해 순간적이고 주관적인 느낌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상주의’에서 기본 색과 점, 선,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존재를 처음 인식한 건 1892년이었다. 이때도 ‘세균보다 작은 어떤 물질이 있다’ 정도의 추측뿐이었다. 그전까지 인류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수도 없이 고초를 겪었으면서도 그것이 바이러스 때문인지는 까마득히 몰랐다.천연두는 기원전 3세기 사망한 미라에도 흔적이 남아있다.놀라운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병원성을 나타내는 무시무시한 바이러스이지만, 감염된 뒤 짧으면 3~9주, 길면 6개월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한다. 따라서 광견병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전구증상이 보일 때 백신을 맞으면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 백신인 동시에 치료제인 셈이다.HIV의 경우 감염된 뒤 2~4주간 가벼운 감기 증상이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능력이 너무 부족하거나 활발한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B림프구는 사멸하거나 무반응 B림프구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다. 이런 반응을 면역관용(immune-tolerence)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 수 없이 다른 사람에게 기증받은 피부를 환자의 화상 부위에 이식했다. 하지만 열흘 정도가 지나자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며 이식한 피부가 괴사했다. 메더워는 기증받은 피부를 한 번 더 같은 환자에게 이식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피부가 곧바로 괴사했다. 메더워는 피부 이식 수술을 통해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들어 인류는 새로운 바이러스의 위협에 직면했다. 기껏해야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정도로 얕봤던 코로나바이러스가 치명률 높은 바이러스로 변신해 찾아온 것이다.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가 창궐하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전 세계에서 8000명 이상이 감염돼 773명이 목숨을 ...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어 로켓을 작게 만들어도 되지요. 레오 에어로스페이스는 로켓의 크기를 기존보다 50%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또 로켓을 발사대에 장착하고 발사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발사 시점과 궤도를 선택하기 수월하고, 발사 대기 시간도 단축할 수 있지요. 최근 우주 ...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척추를 연결하는 마디들이 약간씩 찌그러져요. 그래서 저녁에 잰 키는 아침보다 0.5cm~1cm 정도 작지요. 다행히 밤에는 누워서 자는 동안 찌그러졌던 척추 마디가 다시 펴진답니다. 중력의 영향은 우주로 나가 보면 바로 체감할 수 있어요. 2015년 3월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340일간 머물렀던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