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능력이 너무 부족하거나 활발한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B림프구는 사멸하거나 무반응 B림프구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다. 이런 반응을 면역관용(immune-tolerence)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32대 대통령인 프랭클린 루스벨트까지도 1921년 소아마비를 앓고 하반신이 마비될 정도로 유행은 심각했다. 소아마비는 폴리오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긴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중추신경계 중 운동을 담당하는 부위에 급성 감염을 일으키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신체 손상을 유발한다. 당시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들어 인류는 새로운 바이러스의 위협에 직면했다. 기껏해야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정도로 얕봤던 코로나바이러스가 치명률 높은 바이러스로 변신해 찾아온 것이다.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가 창궐하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전 세계에서 8000명 이상이 감염돼 773명이 목숨을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받아볼 수 있어 가능했습니다. 지사탐 앱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기에, 본받을 ...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척추를 연결하는 마디들이 약간씩 찌그러져요. 그래서 저녁에 잰 키는 아침보다 0.5cm~1cm 정도 작지요. 다행히 밤에는 누워서 자는 동안 찌그러졌던 척추 마디가 다시 펴진답니다. 중력의 영향은 우주로 나가 보면 바로 체감할 수 있어요. 2015년 3월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340일간 머물렀던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싫어하는 과목이 선형대수학이었어요. 살아가면서 다시는 만날 일이 없을 거라고 생각할 정도였죠. 하지만 대학원에 입학해서 산업 분야의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다시 공부하니 재미있더라고요. 코딩도 대학원에 들어와서 처음 배웠답니다. 어떻게 없었던 흥미가 생겼나요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를 진행했으나, 통제가 어렵고 결정적으로 너무 일찍 소멸해버려 연구를 중단했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이처럼 바이러스를 이용한 생물학 무기들은 무기 중에서도 가장 적은 양으로 가장 위협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때문에 첩보영화 등에도 종종 소재로 등장하지만, 실제로 개발됐거나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 수 없이 다른 사람에게 기증받은 피부를 환자의 화상 부위에 이식했다. 하지만 열흘 정도가 지나자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며 이식한 피부가 괴사했다. 메더워는 기증받은 피부를 한 번 더 같은 환자에게 이식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피부가 곧바로 괴사했다. 메더워는 피부 이식 수술을 통해 ... ...
- [특집] 액자 뒤 단서 - 미스터리 암호 푸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엇, 액자 뒤에 뭔가 있는 것 같더라니, 자세히 보니 종이 같은 게 삐죽 나와 있었다. 혹시 다음 장소의 단서가 여기 있을까 싶어 액자를 모두 떼봤다. 역시나 액 ... 통해 푼 최초의 암호로, 컴퓨터로 암호를 해독하는 일을 괴팍한 수염 독수리라고 할 정도로 암호계에서 매우 큰 사건이었다 ... ...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단 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면 그 뒤에는 분열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정도만 알려졌다. doi: 10.1038/s41586-018-0226-8 인간과 DNA 염기서열의 99%가 같은 영장류는 체지방이 9% 수준인데, 인간은 14~31%인 이유도 미스터리다. 이에 대해서는 인간의 지방세포 DNA가 칼로리를 축적하는 ‘나쁜 지방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